농림축산식품부는 기록적인 폭염에 대응해 국가적 비상사태라는 각오로 관계기관과 가용 인력, 예산, 역량을 총동원해 분야별 피해 예방 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농식품부는 1일 세종정부청사 농업재해대책상황실에서 강형식 차관 주재로 농촌진흥청, 농협, 지자체 등 관계기관과 함께 농업인 안전, 농작물, 가축 등 분야별 피해 예방 대책 점검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올해 6월부터 7월까지 일 최고기온 평균이 30℃로 역대 1위를 기록하고, 일 최고기온 33℃ 이상의 폭염일수도 15.0일로 역대 3위이나 당분간 폭염이 이어지면 기록 경신 가능성도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폭염이 이어지면서 농촌지역 논·밭과 비닐하우스에서 발생한 폭염 온열질환자는 371명으로 전년 동기(213명) 대비 약 1.7배 수준으로 조사됐다. 가축재해보험에는 폭염으로 가축 133만7천마리가 폐사한 것으로 신고됐다. 농작물은 호우 직후 급격한 기온 상승으로 일부 품목의 작황 부진이 관측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현장에 농촌진흥청 현장기술지원단(130명), 전국 농축협 직원, 지자체 마을순찰대, 농업인 안전리더 등 가용 인력을 총동원해 무더운 낮 시간대 농작업 중단 관련 순찰 활동을 강화하고 폭염 시 행동요령도 안내한다.
또한 농작업 중 농업인의 체온을 낮출 수 있는 냉각조끼, 쿨링타월 등 개인 냉방 장비를 지원하고, 농촌 왕진버스 활용 온열질환 관련 진료 서비스 제공, 농업인 행복콜센터를 통한 안부 전화와 문자 발송, 지자체 마을 방송 등을 병행 시행한다.
가축 폭염대응 TF를 통해 축사 온도를 낮추기 위한 지자체·농축협 등 방역 차량을 활용한 긴급급수와 고온 스트레스 완화제, 냉방장치, 차광막 등 현장 수요물품을 지원하고 있다.
가금 계열사와 생산자 단체 대상 현장 지도를 강화하고 시도별 취약 농가 집중 점검도 계획하고 있다.
농작물 생육 상황 관련해서는 생육관리협의체를 상시 운영해 기상 상황에 따른 생육 상황을 점검하고, 작황이 부진한 품목은 영양제 살포와 병해충 방제를 지원한다.
또 물 부족 지역에는 살수차·물탱크·양수기 등을 활용한 긴급급수를 지원할 방침이다.
강형식 농식품부 차관은 "농촌지역 순찰 강화, 고령농가 방문 등 적극적인 현장 조치를 통해 농업 분야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정동영 "대북 민간접촉 전면 허용…제한지침 폐지"
한동훈, 당대표 후보 검증 나선 전한길 두고 "진극 감별사"…김문수·장동혁 향해선 "'극우 없다'면서 줄서기"
李대통령, 과한 수사 제동…李경북도지사 첫 사례 되나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60%선 붕괴…20대 부정 평가 높아
이재명 "말 안하니 진짜 가만히 있는 줄 알아, 치아도 흔들려"…관세협상 침묵 이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