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전쟁기념사업회, 독립운동가 최재형 현양 행사 개최

최재형 선생 5대손 최 일리야 씨 "할아버지 정신 널리 알려지는 계기가 되길"

전쟁기녑사업회는 8월 호국인물로 선정된 독립운동가 최재형 선생의 현양 행사를 가졌다.
전쟁기녑사업회는 8월 호국인물로 선정된 독립운동가 최재형 선생의 현양 행사를 가졌다.

전쟁기념사업회(회장 백승주)는 7일 전쟁기념관 2층 중앙홀에서 8월 호국인물로 선정된 독립운동가 최재형(1860~1920) 선생을 기리는 현양 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현양 행사에는 최재형 선생의 5대손 최 일리야 씨, 최재형전쟁기념사업회 문영숙 이사장, 채양묵·가재산 고문, 이종미 이사, 전종호 서울지방보훈청장이 참석했다.

최 일리야 씨는 "먼 타국에서 조국을 위해 헌신하신 할아버지의 뜻을 오늘 이 자리에서 다시 되새길 수 있어 매우 뜻깊다"며 "후손으로서 큰 자부심을 느끼며 오늘 행사가 할아버지의 정신을 널리 알려지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백승주 전쟁기념사업회장은 "조국의 독립을 위해 모든 것을 바친 최재형 선생의 '노블리스 오블리주'와 고귀한 호국정신은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에게 귀감이 될 것"이라며 "전쟁기념사업회는 앞으로도 그의 정신을 널리 알리고 계승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재형 선생은 러시아 연해주에서 활동한 대표적인 독립운동가로 교육,언론,무장투쟁,외교 등 다방면 독립운동을 펼쳤다.

그는 소학교 설립과 유학 지원 등을 통해 민족 교육 기반을 마련했으며, 국권회복을 위해 '대동공보' 발간과 한인중학교 설립 등 언론·교육 활동에 헌신했다.

1908년 '동의회'를 조직하고 총재로 취임해 독립군을 양성하고 군자금을 지원했으며, 안중근 의사를 참모중장으로 임명해 국내진공작전을 전개했다.

1919년 3·1운동 이후에는 임시정부 재무총장으로 선임되어 독립운동 외교활동에 앞장섰다. 1920년 일본군에 체포돼 고문 끝에 순국했으며, 정부는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