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정상회담을 나흘 앞두고 조현 외교부 장관이 21일 갑작스럽게 미국으로 출국했다. 예정된 정상회담을 건너 뛰고 미국행을 택한 건 매우 이례적인 일이라 25일 한미 정상회담의 돌발 변수가 생긴 것이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21일 외교부에 따르면 조 장관은 이날 워싱턴으로 향했으며, 현지에서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 등 미 행정부 인사들과 만날 것으로 예상된다.
통상 외교부 장관은 대통령의 해외 순방에 동행하지만, 오는 23일 한일 정상회담에서 이 대통령을 수행하지 않고 바로 미국행을 택했다. 이 대통령은 한일 정상회담에 이어 25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조 장관의 방미는 우리 측 제안에 따라 전날 급히 결정된 것으로 전해졌다. 일정이 촉박해 직항편조차 이용하지 못했으며, 북미국장 등 최소 인원만이 동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번 정상 방미가 한미 양국 신정부 출범 후 첫 번째 정상회담이라는 의미와 무게감을 감안해서 보다 면밀하고 철저한 준비를 위해 먼저 방문해서 직접 현장에서 미측과 최종 점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다만 외교 수장의 전격 방미가 예정된 한일 정상회담을 건너뛰면서 이례적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막판 현안 조율이 필요했거나, 실무선에서 다루기 어려운 이견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번 회담 의제로는 미국이 요구해온 '동맹 현대화', 주한미군 전략적 유연성, 동맹 기여 확대, 통상 문제 등이 거론돼 왔다. 한국은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 문제를 중점적으로 논의하려는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미국이 중국 견제와 관련해 높은 수준의 동참을 요구했거나, 한국의 원자력협정 개정 방향에 대해 의구심을 보인 것이 변수였을 수 있다는 해석도 있다.
그러나 한 외교 소식통은 "특별하게 부정적인 상황이 갑자기 생긴 것은 아니고 더 잘해보려고 가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일부에서는 의제와 관련한 이견보다는 정상회담 일정이나 형식 조율에서 변수가 생겼을 가능성도 있다는 추측도 나온다.
댓글 많은 뉴스
김여정 "리재명, 역사의 흐름 바꿀 위인 아냐" 발언에…대통령실 "진정성 왜곡 유감"
김건희 "내가 죽어야 남편 살길 열리지 않을까"
조국 "내가 사과한다고 2030 마음 열겠나"…국힘 "그럼 은퇴해라"
"尹 구치소 CCTV 영상 보겠다"…민주당, '자료 제출' 요구하나
"사과한다고 2030 마음 열겠냐"는 조국에 "이래서 사면 안돼" 우재준 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