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美관세장벽에 총 267조원 지원…정책금융·5대은행 '총력 대응'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요약정보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이 요약문은 AI가 작성했습니다. 기자가 직접 취재한 심층적인 이야기와 중요한 맥락은 본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수출기업 유동성 지원 넘어 사업재편·경쟁력 강화까지...'생존' 아닌 '성장'에 초점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개최한 미국 관세대응 정책금융-금융지주 간담회에서 금융감독원, 한국산업은행, 중소기업은행, 한국수출입은행,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한국자산관리공사 부기관장 및 5대 금융지주 CSO 등과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 품목과세 부과에 따른 우리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할 금융업계의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금융위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개최한 미국 관세대응 정책금융-금융지주 간담회에서 금융감독원, 한국산업은행, 중소기업은행, 한국수출입은행,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한국자산관리공사 부기관장 및 5대 금융지주 CSO 등과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 품목과세 부과에 따른 우리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할 금융업계의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금융위

미국의 고강도 관세 부과 조치에 대응해 우리 금융당국과 금융권이 오는 2026년까지 총 267조원 규모의 금융 지원 프로그램을 가동한다. 이번 프로그램은 단기적인 유동성 공급을 넘어 수출 기업의 근본적인 경쟁력 강화와 사업 재편을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춘 전방위적 대응이다.

금융위원회는 3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권대영 부위원장 주재로 '美 관세 대응 정책금융-금융지주 간담회'를 개최했다.

간담회에는 금융위를 비롯해 금융감독원, 한국산업은행 등 정책금융기관과 5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농협)의 최고전략책임자(CSO) 등이 참석했다.

권대영 부위원장은 모두발언에서 "금융 지원이 단순히 생존을 지원하는 것을 넘어, 피해 기업이 근본적인 경쟁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성장동력을 발굴하도록 든든한 기반을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먼저 산업은행·IBK기업은행·수출입은행 등 정책금융기관은 관세 위기 대응을 위해 2026년까지 총 172조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는 경영 애로 해소(36조3천억원), 수출 다변화(33조3천억원), 산업 경쟁력 강화(91조5천억원), 사업 재편(11조원) 등 4대 분야에 집중된다. 이미 지난 8월 말까지 약 63조원이 공급됐다.

특히 피해가 큰 중소·중견기업을 위한 지원이 대폭 강화된다. 산업은행의 '위기대응지원 특별프로그램'은 지원 한도를 기존 대비 10배(중견기업 50억원에서 500억원, 중소기업 30억원에서 300억원) 증액하고, 금리도 추가로 0.5%포인트(p) 인하하기로 했다. 수출입은행 역시 지원 대상을 전체 중소기업으로 확대하고 최대 2.0%p의 우대금리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석유화학, 철강, 자동차 등 주력 산업의 사업 재편을 돕기 위해 1조원 규모의 '기업구조혁신펀드 6호' 조성이 추진된다. 원활한 민간 투자 유치를 위해 정부·정책금융기관의 후순위 출자 비중을 기존 5%에서 10%로 확대했다.

5대 금융지주 역시 2026년까지 총 95조원 규모의 지원책을 마련했다. 이미 8월 말까지 약 45조원을 공급했다. 이 밖에도 금리 부담 경감, 수출·공급망 지원, 대기업 상생 대출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권 부위원장은 "지원 규모의 숫자도 중요하지만, 절박한 피해 기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며 "금융권이 책임 의식을 갖고 현장을 챙겨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