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경국대학교(총장 정태주)가 지역 고령화에 정면으로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대학 모델을 내놨다. 전국 국립대학 가운데 처음으로 '고령친화캠퍼스(AFC)'를 조성, 대학의 문을 지역 노인에게 활짝 열겠다는 선언이다.
국립경국대에 따르면 안동의 고령인구 비율은 이미 27.8%로 전국 평균보다 1.45배 높고, 의성은 절반에 육박하는 초고령 지역이다. 2030년이면 안동 고령화율이 35%까지 치솟을 전망이라 대학의 선제적 대응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에 국립경국대는 경상북도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을 통해 올해부터 2029년까지 25억원을 투입, 예천캠퍼스를 '고령친화 거점캠퍼스'로 전환한다.
경국대는 'K-LEARNing 프로젝트: 사회적 가치실현'을 이름으로 내걸고 세대 통합형 캠퍼스 구축에 나선다. 올해 예천캠퍼스에는 대학생과 노인이 자연스럽게 어울릴 수 있는 '세대공감라운지(GC Lounge)'가 문을 열고, 지금까지 학생만 쓰던 도서관·체육시설·강의실·PC실도 어르신에게 개방된다.
여기에 건강관리 프로그램도 마련됐다. 'G-MEDEX'는 고혈압·당뇨 등 만성질환을 가진 어르신을 위해 맞춤형 운동과 건강증진 서비스를 제공하고, 'G-SSP'는 개인별 건강 상태에 맞는 영양·식단 관리 서비스를 지원한다.
내년부터는 교육 체계 개편도 본격화된다. 고령친화특성화대학원을 신설해 상담·복지·건강을 아우르는 전문 인력을 키우고, 2027년에는 성인학습자학부를 예천으로 옮겨 특성화를 완성한다. 동시에 UCLA, USC 등 세계 150여 개 대학이 참여하는 '국제 고령친화대학 네트워크(AFUGN)' 가입도 추진, 글로벌 표준을 지역에 접목하겠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국립경국대는 ▷2025년 인프라 구축 ▷2026~2027년 시행 및 평가 ▷2028~2029년 고도화·확산 등 3단계 추진 전략을 세웠다. 최종적으로는 '경북형 고령친화캠퍼스(G-AFC) 표준모델'을 완성해 전국으로 확산시키겠다는 구상이다.
안병윤 국립경국대 예천캠퍼스 공공부총장은 "이제는 대학의 지식과 자원을 지역 어르신에게도 개방해야 한다"며 "학령인구 감소로 위기를 맞은 지역대학이 오히려 고령화 해법을 제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임우택 산학협력단장도 "대학이 단순한 교육기관을 넘어 지역사회 문제 해결의 허브가 돼야 한다"며 "이번 사업이 전국 지역대학의 생존 모델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할일 많은데 임기 4년 9개월밖에 안 남아"
'尹·김건희 특혜'라며 막은 '단독 접견'…조국은 29회
최교진 "성적 떨어졌다고 우는 여학생 뺨 때린 적 있다"
'尹 속옷 버티기' CCTV 결국 봤다…尹측 "공개 망신"
홍준표 "與의 내란재판특별부는 위헌…'이재명 총통제' 말 나올 수도" 맹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