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병원급 비급여 1위 '1인실 병실료'…도수치료·임플란트 뒤이어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요약정보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이 요약문은 AI가 작성했습니다. 기자가 직접 취재한 심층적인 이야기와 중요한 맥락은 본문에서 확인하셔야 합니다.

2024년 9월 병원급 비급여 1천68개 항목 진료비 총 5천760원
한방·요양병원 증가 폭 커…진료과목별로는 정형외과 최다

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에서 이동 중인 의료 관계자. 연합뉴스
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에서 이동 중인 의료 관계자. 연합뉴스

동네 의원이 아닌 2차 의료기관 이상에서 비급여 진료비 규모가 가장 큰 항목은 1인실 상급병실료였다. 뒤를 이어 도수치료, 치과 임플란트 비용 순으로 나타났다.

4일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병원급 의료기관 4천166곳의 지난해 9월분 진료내역을 바탕으로 비급여 진료비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정부는 2023년 9월부터 건강보험에서 진료비가 지급되지 않는 '비급여' 진료를 대상으로 '비급여 보고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상반기에는 동네 의원까지 포함하는 전체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진행하고, 하반기는 2차 의료기관 이상에 대해서만 추가로 실시한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9월 한 달 비급여 1천68개 항목의 진료비 규모는 총 5천760억원으로, 작년 상반기보다 38억원 늘었다.

의료기관 종별로는 병원이 2천559억원(44.4%)으로 가장 비급여 진료비 규모가 컸고, 종합병원(20.9%), 상급종합병원(11.9%) 순으로 뒤를 이었다. 특히 한방병원과 요양병원은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했을 때 각각 48억원, 40억원이 늘어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진료과목별로는 정형외과가 전체 비급여 진료비의 26.6%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신경외과(14.2%), 내과(10.3%), 일반외과(6.7%) 등이 그다음이었다.

세부 항목별로는 1인실 상급병실료가 553억원(9.6%)으로 가장 규모가 컸고, 도수치료(8.3%), 치과 임플란트-지르코니아(4.1%), 척추·요천추 자기공명영상(MRI) 진단(3.7%) 등이 뒤를 이었다.

이들을 포함해 상위 10개 항목이 전체의 41.6%를 차지했다.

정부는 과잉 우려가 큰 비급여를 급여로 전환해 적정 진료와 가격을 유도하고, 일부 항목에 대한 환자 서면 동의 의무화 등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권병기 복지부 필수의료지원관은 "국민의 알 권리 보장을 위해 비급여 보고자료를 활용한 비급여 정보 제공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환자·소비자단체·의료계 등과 충분한 논의를 통해 과잉 비급여 관리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