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텍(옛 포항공과대학교)이 교육부 글로컬랩 신규 과제 '초박막 대면적 반도체 소재개발 및 상용화 지원' 공모에 최종 선정됐다.
포항시가 첨단 신소재 전략산업으로 주목하고 있는 그래핀(graphene·탄소 동소체)에 대한 응용기술 개발의 발판이 마련된 셈이다.
8일 포항시에 따르면 이번 국가 연구과제를 통해 포스텍은 향후 9년간 국비 135억원을 포함, 총 사업비 171억원을 확보하게 됐다.
연구내용은 그래핀 등 2차원 소재의 응용기술 연구개발과 상용화 촉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포스텍의 국가 연구과제는 지역 전략산업인 그래핀 육성과 긴밀히 맞닿아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그래핀은 탄소 원자가 벌집 모양의 6각형 격자 구조를 이루는 얇은 판막 형태의 2차원 물질이다.
강철보다 강한 강도 및 뛰어난 열전도성·전기전도성에 비해 쉽게 구부러질 정도로 유연해 기존 소재의 한계를 뛰어넘는 '꿈의 물질'이라고 불린다.
포항시는 일찍이 그 가능성에 주목해 철강·2차전지 중심의 산업 구조를 넘어 첨단 소재 산업을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육성해 왔다.
실례로 오는 11월 포항 블루밸리 국가산업단지 내 그래핀스퀘어의 세계 최초 그래핀 필름 양산공장 준공이 예정돼 있다.
포항시는 이번 포스텍의 연구 성과를 실제 산업현장에 적용시키는 과정에서 지역 기업 참여 및 외부 기업 유치 등 기술사업화 생태계 조성에 주력할 방침이다.
또한 포스텍 반도체공학과·반도체대학원과 연계해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해 차세대 신소재 산업을 이끌 핵심 인재를 체계적으로 배출할 계획이다.
특히, 지역 내 그래핀 관련 기업들과 지속적으로 교류하며 산업계의 실질적 수요를 반영하고, 연구개발과 산업화 과정에서 필요한 기술 지원을 이어갈 전략이다.
서현준 포항시 배터리첨단산업과장은 "국가 차원의 그래핀 산업 육성과 기술 보호를 위해 그래핀의 국가첨단전략기술 지정을 적극 추진 중"이라며 "이번 공모사업 선정은 포항이 그래핀 등 2차원 소재 분야에서 연구개발과 산업화를 이어갈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장동혁 "한동훈과 같이 못간다…해당 행위엔 강력 조치"
차진아 교수 작심 인터뷰 "수준 낮은 공청회…秋, 공직 자격 없어"
'700조 선물 외교'에도 뒤통수 친 미국, 혈맹 맞나
국민의힘, 美 '韓기업 이민단속'에 "700조 투자하고 뒤통수"
트럼프 "한국 배터리·조선 인력 불러들여 미국인 훈련시켜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