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반려동물 건강톡톡]고양이도 '에이즈'에 걸릴까…FIV·FeLV 감염 주의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면역력 저하·종양 유발…정기 검진·예방접종이 최선

고양이 진료 이미지. 클립아트코리아
고양이 진료 이미지. 클립아트코리아

고양이도 '에이즈'에 걸린다는 말은 사실일까? 흔히 '고양이 에이즈'라고 불리는 질환은 사람의 에이즈(HIV)와는 전혀 관련이 없다. 정확히 말하면 고양이 면역결핍 바이러스(FIV)에 감염돼 발생하는 질병으로, 고양이끼리만 전염된다. 이 바이러스는 고양이의 면역체계를 손상시켜 여러 질환을 일으킨다.

이와 유사하게 면역체계 이상을 초래하는 또 다른 바이러스로는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FeLV)가 있다. 두 바이러스 모두 레트로바이러스에 속하며, 감염된 고양이와의 접촉을 통해 전파된다.

FIV는 주로 교상으로 인한 상처를 통해 감염된다. 이 때문에 싸움이 잦은 길고양이나 성묘에서 많이 발견된다. 반면 FeLV는 감염된 고양이의 타액, 비강 분비물, 단순 접촉으로도 전염될 수 있으며, 드물게는 어미 고양이로부터 새끼에게 전파되기도 한다. 따라서 어린 고양이부터 성묘까지 감염 연령대가 다양하다.

FIV나 FeLV에 감염됐다고 해서 곧바로 증상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초기에는 식욕부진, 체중 감소, 발열, 무기력 등 비특이적인 증상이 나타나다가 호전되면 한동안 아무 증상 없이 잠복기로 이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 면역력이 떨어지면 바이러스가 활성화돼 갑작스럽게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바이러스가 골수까지 침범하면 빈혈, 호중구 감소증, 혈소판 감소증 같은 혈액학적 이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면역력이 저하된 상태에서는 구내염, 폐렴 같은 2차 감염 질환이 쉽게 발생한다. 특히 FeLV는 유형에 따라 림프종, 백혈병 등 종양성 질환으로 진행되기도 한다.

대구 알파동물메디컬센터 우정은 내과과장이 고양이를 진료하고 있다. 알파동물메디컬센터 제공
대구 알파동물메디컬센터 우정은 내과과장이 고양이를 진료하고 있다. 알파동물메디컬센터 제공

FIV·FeLV 진단은 키트 검사와 PCR 검사로 가능하다. 다만 감염 초기에는 키트 검사에서 음성이 나올 수 있어, 정확도를 위해 PCR 검사를 병행하거나 일정 기간 후 재검을 받는 것이 권장된다.

대구 알파동물메디컬센터 우정은 내과과장은 "바이러스 질환 특성상 특별한 치료법이 없어 증상에 따른 대증치료가 주로 이뤄진다"며 "2차 감염에는 항생제 치료, 종양 발생 시 항암치료를 시도할 수 있으나 효과가 제한적일 때가 많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런 바이러스 질환은 정기 검진과 예방 접종이 가장 중요하다"며 "의심 증상이 보일 경우 조기에 검사를 받고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