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와 오찬 회동했다. 여야 대표는 취임 후 처음 악수했다. 장 대표는 이 대통령에게 내란특별재판부 설치와 3대 특검법 개정안 등에 대해 거부권 행사를 요청했다.
이 대통령이 여야 대표와 한자리에서 만난 것은 여야 간 극한 대립 속에 국민 화합을 꾀하려는 이 대통령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다. 정 대표는 국민의힘을 '내란 정당'으로 규정하고 악수조차 거부해 왔다. 대통령이 나서서 여야 대표가 마주할 자리를 만듦으로써 적어도 상대를 '사람'으로 보지 않는 극단적(極端的) 정치는 피한 셈이다. 이어진 이 대통령과 장 대표 단독 회동에서 장 대표는 "오랫동안 되풀이돼 온 정치 보복 수사를 끊어 낼 수 있는 적임자는 이 대통령"이라고 말했고, 이 대통령은 "정치의 사법화를 우려한다"며 "여야 어느 한쪽 또는 특정 진영 이익을 위해 정치하지 않겠다"고 답했다고 한다.
이 대통령 취임을 전후해 민주당은 3대 특검법(김건희 특검법, 해병대원 특검법, 내란 특검법)과 3대 특검법 개정안(특검 수사 기간 연장, 수사 인력 확대, 재판 중계), 노란봉투법, 2차 상법 개정안 등을 몰아치고 있다. 여기에 검찰청 폐지와 예산 기능을 기획재정부에서 분리해 총리실 산하 기획예산처로 넘기는 정부 조직 개편 등 정부의 근간(根幹)을 바꾸고 국민 생활에 큰 영향을 주는 사안들, 국민 간 첨예한 갈등을 조장(助長)할 수 있는 법안을 막무가내로 밀어붙이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이 대통령은 "야당의 의견이 충분히 반영되도록 조치하겠다"고 답했다고 한다.
대통령과 여야 대표가 한두 번 만나 악수하고, 각자의 생각을 주고받는다고 해서 입장 차이를 모두 극복(克服)할 수는 없다. 그럼에도 입장 차이가 큰 문제를 앞세워 대립할 것이 아니라, 우선 극복할 수 있는 문제부터 머리를 맞대야 한다. 이번 만남이 향후 소통, 협력의 발판이 되자면 이 대통령은 장 대표의 요청에 대해 적극 화답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역시 말뿐'이란 지탄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장동혁 "한동훈과 같이 못간다…해당 행위엔 강력 조치"
차진아 교수 작심 인터뷰 "수준 낮은 공청회…秋, 공직 자격 없어"
'700조 선물 외교'에도 뒤통수 친 미국, 혈맹 맞나
李 대통령 지지율 70% 육박…'여론조사꽃' 조사결과
국민의힘, 美 '韓기업 이민단속'에 "700조 투자하고 뒤통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