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혁신당 성비위 사건이 재점화된 후 범여권 수장들의 각기 다른 리더십을 두고 뒷말이 무성하다.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의 경우 수감을 핑계로 관련 입장 표명을 미룬 반면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2차 가해성 발언을 한 최강욱 교육연수원장에 대해 신속히 진상조사를 지시해 상반된 모습을 보였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조국혁신당 성비위 사건은 지난 4일 강미정 조국혁신당 전 대변인의 당의 성추행 사건 처리 방식을 비판하며 탈당을 선언하면서 다시 공론화됐다. 이날 기자회견 이후 조 전 대표는 "강 대변인 탈당 기자회견을 어떻게 봤느냐"는 질문을 받았지만 "다음에 기회를 갖겠다"며 곧바로 답하지 않았다.
이후 조 전 대표는 저녁 늦게 "수감 중 수많은 서신을 받았고 피해자 대리인이 보내준 자료도 있었다"며 "당시 당적 박탈로 비당원 신분이었던 저로서는 당의 공식 절차가 진행되는 과정에 제가 할 수 있는 역할이 없었다"며 입장을 냈다.
사실상 당의 수장 격인 조 전 대표가 책임을 회피하자 논란은 걷잡을 수 없이 커졌다. 지난 7일 당 지도부가 모두 사퇴한 조국혁신당은 이르면 오는 9일 의원총회를 통해 비상대책위원회 운영 방안을 정할 방침이다. 당 관계자는 "조 전 대표의 무책임한 태도와 당직자들의 '조국 지키기'가 대중을 더욱 자극한 것으로 보인다"며 "지금으로선 이 여파가 언제까지 이어질지도 모르겠다"고 말했다.
반면 민주당의 정 대표는 조국혁신당에서 번지는 불길을 곧바로 차단했다. 최강욱 교육연수원장이 조국혁신당 성비위 사건을 두고 "이해가 안 간다. 솔직히 말씀드려서 한 발짝 떨어져 보는 사람으로서 그렇게 죽고 살 일인가", "그건 개돼지의 생각" 등의 발언을 한 것으로 드러나자 곧바로 윤리감찰단에 긴급 진상조사를 지시했다. 이후 최 원장은 교육원장직에서 사퇴했다.
앞서 정 대표는 주식 차명거래 논란이 불거진 이춘석 전 민주당 의원에 대해서도 같은 긴급 진상조사를 지시했고, 직후 이 의원은 탈당 결정을 내렸다. 민주당 관계자는 "정 대표는 강력한 감찰 지시 등 민심을 반영해 신속 대응했지만, 조국혁신당은 사안이 곪아 터질 때까지 내부에서 쉬쉬하며 방치했다"며 "민심에 기민한 대응을 하자는 게 대표님의 의중이자 대중정당의 본분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한편 조국혁신당 여성위원회 고문이자 당내 성추행 피해자 대리를 맡고 있는 강미숙 변호사는 8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지도부 총사퇴에 대해 "폭력적으로 느껴졌다. 피해자들에게 무엇을 원하는지 묻는 게 순서"라고 강조했다. 이어 비대위원장직을 두고는 "비대위원장은 오히려 제3자가 더 낫지 않나 하는 생각도 한다. 조 전 대표가 비대위원장을 맡으면 아무래도 조 전 대표의 의견이 가장 우선시 될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장동혁 "한동훈과 같이 못간다…해당 행위엔 강력 조치"
차진아 교수 작심 인터뷰 "수준 낮은 공청회…秋, 공직 자격 없어"
'700조 선물 외교'에도 뒤통수 친 미국, 혈맹 맞나
국민의힘, 美 '韓기업 이민단속'에 "700조 투자하고 뒤통수"
최강욱 "2찍들 싹모아 묻어버리면 민주주의 완전 성공·도약"... 또 막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