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 패배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의 마지막 연설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지통신은 9일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이시바 총리가 의욕을 보여온 전후 80년 메시지 발표를 이달 유엔 총회에 맞춰 하는 방안이 부상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지지통신에 따르면 이시바 총리가 전후 80년 메시지를 "자신의 유언 정도의 기분으로 생각한다"는 얘기가 있으며, 현재도 준비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다만, 그는 자민당 총재 사임 의사를 밝히며 정권의 구심력이 낮아진 상황이어서 측근들도 "이 국면에는 어려운 게 아닌가"라는 비관적인 목소리를 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시바 총리는 올해 전후 80년을 맞아 각의(국무회의)를 거친 총리 담화 발표를 검토하다가 자민당 내 옛 '아베파' 등 보수 세력 반발을 고려해 총리 개인 명의 견해를 내는 쪽으로 고민해왔다. 특히, 일본이 항복문서에 조인한 9월 2일이 거론됐으나, 선거 패배에 따른 퇴진 압박이 거세지면서 이날 메시지 발표를 보류했다.
일본 총리들은 전후 50년이었던 1995년부터 10년 간격으로 패전일인 8월 15일쯤 각의(국무회의)를 거쳐 담화를 발표했다. 무라야마 도미이치 전 총리는 전후 50년 담화, 고이즈미 준이치로 전 총리는 전후 60년 담화에서 각각 식민지 지배에 대해 사죄와 반성의 뜻을 표명했다.
아베 신조 전 총리는 2015년 전후 70년 담화에서 "일본은 지난 전쟁에서의 행동에 대해 반복적으로 통절한 반성과 진심 어린 사죄의 마음을 표해 왔다"며 '과거형'으로 사죄하고 후대에 사죄를 계속하게 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이에 자민당 내 보수 세력은 이시바 총리의 전후 80년 견해 발표에도 반대하는 목소리를 내왔다.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은 이날 정례 기자회견에서 관련 질문을 받고 "전후 80년 메시지의 방향성에 대해서는 현시점에서 결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번 이시바 총리가 답한 것처럼 그동안 축적된 담화에 근거해 적절하게 판단하게 되지만 전쟁을 두번 다시 일으키지 않겠다는 관점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시바 총리는 이달 23일부터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유엔총회 일반 토의에서 연설자로 참여하는 방안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댓글 많은 뉴스
장동혁 "한동훈과 같이 못간다…해당 행위엔 강력 조치"
李 대통령 지지율 70% 육박…'여론조사꽃' 조사결과
'700조 선물 외교'에도 뒤통수 친 미국, 혈맹 맞나
대통령실 결단에 달린 'TK신공항 자금난'…대구시 '新 자금 계획' 예고
장동혁, 李 대통령에 "특검법 개정안·내란특별재판부에 거부권 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