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림청이 지난 3월 경북 북동부 5개 시·군을 휩쓴 대형 산불 피해 면적을 축소 발표했다는 의혹이 환경단체로부터 제기됐다.
안동환경운동연합과 서울환경연합, 생명다양성재단, 불교환경연대 등은 11일 서울 종로구 불교환경연대 그린담마홀에서 개최한 '경북 산불 피해 확산 원인조사 프로젝트' 착수 및 '1차 분석 결과 발표'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이들은 경북 산불 피해 지역에 대한 1차 위성영상 분석 결과, 피해 면적은 산림청 발표보다 훨씬 넓은 11만6천ha로 나타났다고 강조했다.
홍석환 부산대 교수는 "경북 산불 피해 면적은 산림청 공식 발표 기록인 9만9천289ha보다 더 넓은 11만6천333ha로 분석됐다"며 "산림청이 초기 발표에서 피해 규모를 4만5천ha로 축소했다가, 이후 통계를 수정했지만 10만ha를 넘지 않으려고 축소한 게 아닌가 하는 의혹이 든다"고 주장했다.
경북 북동부 지역 대형 산불은 사망자 31명, 주택 전소 4천여 채, 1조1천억원 이상의 재산 피해를 남기며 대한민국 역대 최악의 산불로 기록됐다.
환경단체는 산림청의 소나무 단순림 숲가꾸기 정책과 부실한 대응 체계가 대형산불의 원인으로 지적했지만 정부 차원의 공식 조사와 과학적 검증은 여전히 이뤄지지 않고 있다.
김수동 안동환경운동연합 대표는 "산불 피해 주민에 대한 지원은 터무니없이 부족한데, 산림청은 막대한 예산을 긴급벌채·임도 조성·조림 등 산림 사업에 쏟아붓고 있다"며 산림청과 산림 카르텔을 강하게 비판했다.
유정길 불교환경연대 공동대표는 "산림청은 기후위기 탓만 하는데 왜 가까운 일본·중국·북한은 산불이 줄어드는지 설명이 안된다"며 "정부와 국회는 산불이 대형화된 원인이 무엇인지 파악도 하지 않은 채 조림과 임도 등 산림청 예산만 늘려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연구는 홍석환 부산대 교수가 연구책임을 맡고, 황정석 산불정책연구소 소장, 기경석 상지대 교수, 염정헌 강릉원주대 교수 등이 참여한다.
연구팀은 현장조사와 위성영상 분석을 통해 산불 피해 확산 범위와 피해 강도를 규명하고, 초동 진화 실패 원인과 대응 체계 문제점을 과학적으로 분석해 내년 2월 최종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김산하 생명다양성재단 대표는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연구결과가 향후 건강한 산림으로의 생태적 전환을 이끄는 밑거름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에 '폴더 인사' 중진들"…국힘 초선들 '자괴감' 토로
李 대통령 지지율 70% 육박…'여론조사꽃' 조사결과
李대통령 "고신용자 부담으로 저신용자 싸게 빌려주면 안 되나"
나경원·한동훈 "손현보 목사 구속 지나쳐, 종교 탄압 위험 수위 넘어"
외교부 "'美구금' 전세기 10일 출발 어렵게 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