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전역이 소나무재선충병 확산으로 심각한 위기에 빠졌다. 안동, 포항, 경주가 모두 산림청 지정 '극심지역'으로 분류되면서 방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피해는 줄지 않고 있다. 경북도는 예산을 대폭 늘리며 총력전에 나섰지만 확산세는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다.
14일 경북도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도내에서 재선충병으로 고사한 소나무는 76만여 그루에 달했다. 2021년 피해 규모가 11만여 그루였던 것과 비교하면 5년 만에 7배 가까이 늘어난 수치다.
지역별로는 포항이 30만9천여 그루로 최악의 피해를 기록했고, 경주 15만5천여 그루, 안동 11만1천여 그루가 뒤를 이었다. 안동은 지난해 6만여 그루 피해에서 불과 1년 만에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포항, 경주, 안동은 소나무림 면적이 넓고 목재 이동이 잦아 확산에 취약하다. 여기에 기후 변화로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의 활동 기간이 길어진 것도 피해를 키운 요인으로 꼽힌다. 고온이 지속될수록 매개충의 활동시기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경북도는 벌목 등 말소 방제를 대대적으로 실시하고, 드론을 활용한 항공 예찰과 목재 이동 단속도 강화하고 있다. 올해 방제 예산은 1천148억원으로, 지난해 497억원보다 두 배 이상 늘렸다. 확보된 예산은 포항·경주·안동 등 극심지역을 중심으로 우선 배정됐다.
그럼에도 확산세는 꺾이지 않고 있다. 최근 영주, 청송, 영덕에서도 피해가 늘어나고 있으며, 영덕은 2만2천여 그루 피해가 확인돼 새롭게 고위험 지역으로 떠올랐다.
전문가들은 "예산 확대 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지역 주민과 지자체가 함께 참여하는 방제 체계 마련과 장기적 수종 전환이 반드시 병행돼야 한다"고 지적한다.
경북도는 지난해 안동과 포항 등지 195㏊에 재선충병에 강한 수종을 심었고, 올해는 8개 시군에서 1천㏊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그러나 장기적 관리와 예산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실효성을 거두기 어렵다는 우려도 있다.
전문가들은 경북의 사태가 전국 확산의 신호탄이라고 경고한다. 실제로 강원과 충청 등 인접 지역에서도 피해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경북도 관계자는 "지금 확산을 막지 못하면 백두대간 전체가 위험해질 수 있다"며 "앞으로도 총력을 다해 방제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