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운잡방'과 '음식디미방' 등 경북지역에서 전해지고 있는 고 조리서들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아시아·태평양 지역 목록 국내 후보로 선정됐다.
한국국학진흥원과 안동시는 "'수운잡방'과 '음식디미방'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아·태 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국내 후보로 선정됐다"며 "아·태 기록유산으로의 등재 여부는 내년 6월 개최 예정인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아시아·태평양 지역 기록유산 총회'(MOWCAP)에서 최종 결정된다"고 15일 밝혔다.
'수운잡방' 상편은 광산김씨 문중의 탁청정 김유(1491∼1555)가 썼고, 하편은 그의 손자 계암 김령(1577∼1641)이 집필했다.
'수운잡방'에는 122개 항목의 조리법이 담겨 있는데, 이 가운데 60개가 술 제조법으로 가장 많은 항목을 차지한다.
'수운잡방'은 민간에서 쓰인 최초의 조리서로 꼽히며 전문이 온전한 조리서 가운데 가장 오래됐다. 2021년 8월 조리서로는 유일하게 보물 제2134호로 지정됐다.
'수운잡방'이 양반가 남성이 쓴 한문 조리서라면, '음식디미방'은 양반가 여성 장계향(1598∼1680)이 쓴 순한글 조리서이다.
'음식디미방'에는 모두 146개 항목의 조리법을 담고 있으며, 이중 술 제조법은 50개 항목에 달한다.
'수운잡방'과 달리 면병류, 어육류, 주국방문(주류), 식초 담그는 법 등 4개 영역으로 나누어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수운잡방'의 조리 지식은 혼인을 통해 형성된 유력 가문 간 인적 관계망을 통해 전파됐다. 저자 김령의 사촌 조카 김사안이 1607년 이시명과 혼인하면서 김령과 이시명 간의 교류가 활발해졌고, 김사안 사후에도 관계는 지속됐다.
이후 1616년 이시명이 '음식디미방'의 저자 장계향과 재혼하면서 두 가문은 더욱 긴밀히 연결됐다. 이 같은 인적 연계는 '수운잡방'의 조리 지식이 지역 공동체 내에서 전파되는 통로로 작용했다. 장계향은 이러한 관계망 속에서 '수운잡방'의 조리법을 수용할 수 있었다.
두 조리서는 시대·문자·저자·성별이 상이하나, 다른 조리서에 없는 조리법을 공유하고 있다. 증류주 1종, 발효주 5종, 음식 1종 등 두 조리서에만 나타나는 조리법은 지식이 특정 계보를 통해 전승됐음을 입증하는 단서다.
특히 두 조리서에 공통으로 등장하는 밀 기반 증류주의 제조법은 완전하게 일치하며, 값비싼 쌀이 아닌 저렴한 밀을 사용한 점은 안동 지역의 환경적·경제적 조건을 반영한다.
증류 기술은 중동의 연금술에서 기원해 몽골 제국의 팽창을 통해 아시아 전역으로 퍼졌지만, 이를 지역 공동체의 실천 속에서 기록하고 장기간 전승한 사례는 매우 드물다.
남성과 여성의 협업을 통해 문서화된 '수운잡방'과 '음식디미방'은 그 희소한 예로, 지식의 계보적 전승과 공동체 기반 기록문화의 가치를 보여준다.
이번 등재 추진은 한국국학진흥원과 안동시가 지역 기반 민간기록유산의 가치를 세계에 알리고자 지속해온 노력의 결실이다.
한편, 안동시는 이미 '한국의 유교책판'(2015년)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한국의 편액'(2016년), '만인의 청원, 만인소'(2018년), '내방가사'(2022년)를 세계기록유산 아·태지역 목록에 등재시킨 경험이 있다.
권기창 안동시장은 "이번 등재 추진은 안동이 보유한 역사·문화적 가치를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중요한 과정"이라며 "체계적인 보존․관리와 국내외 협력을 통해 안동의 역사와 문화를 널리 알리겠다"고 밝혔다.
한국국학진흥원 관계자는 "'수운잡방'과 '음식디미방'은 생활기술이 세대를 넘어 계보적으로 이어진 기록은 세계적으로도 드물다는 점에서 이번 신청은 더욱 큰 의미를 지닌다"라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