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조희대를 집에 보내야 하는 이유 [가스인라이팅]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챗GPT 생성 이미지
챗GPT 생성 이미지

'그들' 입장에서 보자. 현재 이재명 대통령은 5개 재판의 피고인이다. 지금은 대통령 권력이 강하니 정지됐지만 퇴임 후든 임기 중이든 재판은 언젠가 재개된다. 권력을 쥐고 있을 때 사법리스크 문제를 매듭짓고 싶을 것이다.

공직선거법 위반과 위증교사 사건은 설령 유죄가 인정되더라도 실형 선고 가능성은 낮다. 특히 공직선거법 재판의 경우 지금은 당선무효가 될 중대한 사안이지만 퇴임 대통령에겐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퇴임 대통령이 피선거권 박탈에 목맬 일이 없기 때문이다. 문제는 대장동·백현동 비리, 대북송금 사건이다. 이 사건에서 유죄가 인정되면 중형 선고를 피할 수 없고 재판을 그대로 두면 퇴임 뒤 안전보장도 요원해진다.

그들의 지연 전술 덕분에 이 사건들은 아직 1심에 머물러 있다. 형사소송법에 따르면 검사는 1심 판결 선고 전까지 공소를 취소할 수 있다. 그들 입장에선 매력적인 제도다. 그러나 검사들이 이런 불법적인 지시를 순순히 따를 리 없고 직권남용 논란도 피하기 어렵다. 따라서 우리는 그들이 공소청 출범 이후 권력으로 통제 가능한 환경이 마련됐을 때 공소 취소를 추진하는 시나리오를 예상해 볼 수 있다.

하지만 공소 취소가 불러올 역풍을 우려할 것이기에 그들은 보다 '깨끗한 길'을 찾을 것이다. 법원에서 무죄 판결을 받는 길 말이다. 문제는 대통령이 검사 인사권은 쥐고 있어도 개별 판사에게 직접 영향력을 행사하기는 훨씬 어렵다는 점이다. 결국 법관 인사권을 가진 대법원장이 핵심 열쇠가 된다. 협조적인 대법원장을 확보해야만 재판 재개 뒤 무죄 시나리오를 그릴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보면 최근 조희대 대법원장을 겨냥한 여권과 대통령실의 공세를 이해할 수 있다. 조 대법원장의 임기는 2027년 6월까지다. 대통령 권력이 강한 지금이야말로 사법 리스크를 정리하기에 최적의 시기인데 '소통 불능'으로 여겨지는 조 대법원장은 걸림돌일 수밖에 없다. 포섭 시도가 실패하자 결국 제거를 선택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조 대법원장이 임기를 지킨다면 후임은 2027년 하반기, 즉 정권 중간평가인 총선을 앞두고 임명된다. 차기 대권을 노릴 김민석 국무총리나 정청래 민주당 대표 등은 이 대통령과 차별화를 시도할 것이다. 만약 그들이 무리한 '셀프 무죄 프로젝트'를 추진한다면 총선을 앞둔 여권 내부의 반발부터 직면할 것이다. 대통령에게 남은 시간은 길지 않다.

조 대법원장이 근거 없는 사퇴 압박에 굴복할 가능성은 낮다. 상당수가 "그럴 인물이 아니다"라고 잘라 말한다. 여권은 결국 대법원장 탄핵까지 추진할 것 같다. 하지만 이는 곧 이재명 정권 몰락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 우리 국민은 독재를 용납하지 않기 때문이다.

대통령과 국회의원 신분은 사법 리스크를 막아주는 든든한 갑옷이지만 그 유효기간은 정해져 있다. 당장은 이 최고의 방탄복이 든든할 수 있다. 그러나 시간은 흐른다. 초조감은 커진다. 생존 욕구는 더 강해질 것이다. 만약 그들이 생존을 위해 '권력 남용'을 선택한다면 그 결말은 꽤 뻔하다. 자멸뿐이다.

조상현 전 기획재정부 장관정책보좌관 / 법률사무소 상현 대표변호사

조상현 전 기획재정부 장관정책보좌관 / 법률사무소 상현 대표변호사
조상현 전 기획재정부 장관정책보좌관 / 법률사무소 상현 대표변호사

* 가스인라이팅(Gas Enlighting)은 매일신문에서 새롭게 선보이는 칼럼 공간입니다. '가스라이팅'은 1930년대 가스등을 사용하던 시절 파생된 용어입니다. 가스등을 조금씩 어둡게 해 누군가를 통제하는 걸 의미하는데요 '가스인라이팅'은 그 반대로 등불을 더 밝게 비춰주자는 뜻입니다. 젊은이들의 시각으로 새로운 이야기를 자주 선보이도록 하겠습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