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나서서 대구 군 공항 이전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국회를 중심으로 커지고 있다. 다만 관련 법 개정 시 물리적인 시간이 오래 걸려 자칫 사업 자체가 더욱 난관에 부닥칠 수 있다는 지적도 뒤따르고 있다.
18일 국회에서는 주호영 국회부의장(대구 수성구갑) 주최 '대구 도심전투비행단 이전 어떻게 풀어야 하나 : 기부대양여방식의 한계와 해결방안'을 주제로 한 토론회가 개최됐다. 이 자리에는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와 송언석 원내대표를 비롯해 30여 명의 여야 의원들이 참석했다.
발제에 나선 서상언 대구정책연구원 공공투자평가센터장은 대구 군 공항 이전사업이 '기부대양여' 방식으로 건설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군 공항 이전사업의 유일한 제도가 '기부대양여' 방식이지만 투자금 투입과 회수 시점이 장기간 소요되는 공항 이전의 경우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가덕도신공항, 제주공항 등과 같이 대구 군 공항 이전사업도 국가가 주도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 부의장은 '군 공항 이전 특별법'과 '대구경북통합신공항 특별법' 개정을 추진 중이다. 개정안에는 사업 재원을 국비로 전액 부담하고, 사업 시행자를 '종전부지 지자체장'에서 국방부장관으로 명문화하는 내용이 담겼다.
이 같은 주장에 토론회에 참석한 황순관 기획재정부 국고국장은 "사업 규모, 사업 기간 등을 고려할 때 현금유동성 문제가 가장 크다는 것을 알고 있고 이를 해결할 방법을 찾는 노력을 하겠다"며 원론적인 답변만 내놨다.
박길성 국방부 군공항이전사업단장은 "이미 기부대양여 방식을 전제로 법 체계가 형성된 상황에서 법안을 개정하려면 관계 부처, 지자체 등 모두 입장이 달라 다시 합의를 도출해 내는 데 상당한 어려움과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재원 문제와 관련해서는) 기재부와 논의 중인 공자기금 협의를 진행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 그게 키(key)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내란특검' 수사기한 연장 승인
법무부 내부서도 "대장동 항소 필요" 의견…장·차관이 '반대'
현직 검사장, 검찰총장 대행에 "정권에 부역, 검찰에 오욕의 역사 만들었다…사퇴하라" 문자
송언석 "李정권, 김현지 감추려 꼼수·반칙…與는 '배치기' 육탄 방어"
주진우 "대장동 항소 방해 책임져야…李대통령도 성역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