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와 포항시가 공동 주최한 '2025 바이오헬스에서 찾는 포항 미래발전 포럼'이 22일 서울 반얀트리 호텔에서 열렸다.
이번 포럼은 국가첨단전략산업 바이오 특화단지로 지정된 포항의 발전 전략을 공유하고, 첨단 바이오산업 거점도시로의 도약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행사에는 국회·학계·바이오 기업·연구기관 관계자 등 200여명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참석자들은 ▷3·4세대 방사광가속기와 세포막단백질연구소 등 세계적 연구 인프라 ▷연구·임상·생산·사업화 전주기 시스템 ▷의대 설립 추진과 인재 양성 기반 등을 포항의 강점으로 꼽으며, K-바이오 중심 도시 성장 가능성에 공감했다.
행사는 기조연설, 2개 세션 발표, 종합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기조연설에서 박구선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은 'K-바이오 중심도시, 왜 지금 포항인가?'라는 주제 발표를 하며 "포항이 대한민국 바이오 균형발전의 핵심거점"이라 강조했다.
세션1에서는 고용송 포스텍 생명과학과 교수의 사회로 '바이오벤처 클러스터와 인프라 전략'이 논의됐다.
양성일 분당서울대병원 교수가 주제 발표를 맡았으며, 임이랑 헬시버디 대표가 기업 현장의 목소리를 전했다.
세션2에서는 김철홍 포스텍 창의IT융합공학과 교수가 좌장을 맡아 '포항의 바이오 미래 전략과 인재 양성'을 주제로 토론이 이어졌다.
김완욱 포스텍·가톨릭대 의생명공학연구원 김완욱 원장, 이용균 연세대 병원이노베이션연구소장, 박정완 순천향대 감염내과 교수가 발표자로 참여해 의료 혁신과 인재 양성 방안을 제시하며 "포항형 인재 육성 모델"을 구체화했다.
종합토론은 양성일 교수를 좌장으로, 김제화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수석연구위원, 이진한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 부회장, 정심교 머니투데이 의학전문기자가 참여했다.
토론자들은 포항이 국가 바이오산업 균형발전의 모범 사례가 될 수 있다는 데 뜻을 같이하고, 정부와 지자체의 협력 강화를 주문했다.
포항시는 이번 포럼을 통해 ▷의대 설립 등 인재 양성에 대한 전국적 공감대 ▷바이오벤처 유치와 투자 기반 확대 ▷지역 의료격차 해소 전략 ▷정부 정책 연계 강화 등 실질적인 성과를 도출했다고 전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이번 포럼을 통해 포항이 바이오헬스 산업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삼아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했다"며 "오늘 논의된 성과가 실질적 사업으로 이어져 포항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바이오헬스 거점으로 도약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외국 군대 없으면 자주국방 불가능? 굴종적 사고"
대구 찾은 장동혁 "TK 신공항·미분양 매입 적극 추진"
"사법 파괴 중단하라" 국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5년여 만에 장외투쟁
李대통령, "美 3천500억불 요구 수용시 금융위기 직면"
윤여정 "동성애·이성애 모두 평등…한국은 너무 보수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