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가 22일(현지시간)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공식 승인했다. 세계 정상들이 모이는 유엔총회 고위급 회기를 하루 앞두고서다. 특히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서 학살을 자행하고 있다는 유엔조사위원회(COI)의 조사 결과에 아랑곳 않고 이스라엘의 공세가 이어지던 터다. 프랑스는 물론 캐나다, 호주, 영국 등의 국가 승인 행렬에 다른 선진국들도 동참할 기세다. 그러나 이런 일련의 승인 릴레이가 이스라엘을 압박하는 상징적 의미에 그칠 것이라는 비관론도 있다.
◆팔레스타인, 국가로 승인하는 선진국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이날 미국 뉴욕 유엔총회장에서 팔레스타인 두 국가 해법을 논의하는 고위급 회의를 주재하면서 "우리는 평화의 길을 열어야 한다. 오늘 프랑스는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승인한다"고 선언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두 국가 해법의 가능성 자체를 보존하기 위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평화와 안정 속에서 함께 살아갈 수 있도록 모든 걸 있는 힘껏 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마흐무드 압바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 수반은 이날 정상회의에서 행한 화상 연설에서 가자전쟁 휴전 후 1년 이내에 개혁과 선거 실시를 약속하며 "팔레스타인이 유엔의 정식 회원국이 되도록 지지를 촉구한다"라고 밝혔다. 앞서 미국 국무부는 유엔총회 고위급 회기에 참석할 예정이었던 PA 관계자 80명에게 비자 발급을 거부하거나 취소한 바 있다.
이날 회의에 앞서 전날 캐나다, 호주, 영국, 포르투갈이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승인한다고 밝혔고, 22일 오전 몰타가 승인 대열에 합류했다. 유엔총회 고위급 회기 기간 벨기에, 룩셈부르크 등의 추가 승인 발표도 이어질 전망이다.

◆평가 절하하는 이스라엘과 미국
이 같은 움직임을 불편하게 보는 이스라엘과 미국의 시선은 여전하다. 외려 문제 해결을 지연시킬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한다. 이날 회의에 앞서 기자들과 만난 대니 다논 주(駐) 유엔 이스라엘 대사는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승인하는 건) 외교가 아니며 보여주기식 공연일 뿐"이라고 평가 절하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도 브리핑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 결정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점을 매우 명확히 밝혀왔다"며 "솔직히 말해서 트럼프 대통령은 그것이 하마스에 대한 보상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도 지난주 이스라엘을 방문한 뒤 "대체로 상징적인 일"이라며 "팔레스타인 국가가 가까워지는 것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못한다"고 냉소적인 판단을 전한 바 있다.

◆이스라엘 압박용, 상징성에 그치나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을 상징적 의미로 보는 평가도 나온다. 이때껏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는 데 소극적이었던 선진국들의 잇단 국가 인정이 이스라엘 압박용이라는 것이다. 이스라엘은 수만 명의 민간인 희생과 인도주의적 참상에도 가자지구에 강도 높은 공세를 이어가고 있다.
독립 조사 권한을 가진 유엔조사위원회(COI)는 지난 16일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에서 대량학살을 자행했다고 규정하는 내용의 보고서를 발표한 바 있다. 이번 발표로 G20(주요 20개국) 국가 중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은 나라는 미국, 독일, 이탈리아, 일본, 그리고 우리나라까지 5개 국이 남게 됐다.
우리나라는 팔레스타인을 공식적인 국가로 인정하는 문제에 대해 유보적인 입장이다. 다만 지난해 4월 유엔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에서 있은 팔레스타인의 유엔 정회원국 가입 표결에서 찬성표를 던진 바 있고, 지난 12일 유엔총회가 팔레스타인 문제의 평화적 해결 방안으로 두 국가 해법의 이행 지지 결의를 채택할 때도 찬성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구 찾은 장동혁 "TK 신공항·미분양 매입 적극 추진"
李대통령 "외국 군대 없으면 자주국방 불가능? 굴종적 사고"
사퇴 압박받는 조희대 "법은 통치수단 아닌 백성 삶 향상시키는 토대"
李대통령, "美 3천500억불 요구 수용시 금융위기 직면"
"사법 파괴 중단하라" 국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5년여 만에 장외투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