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자원) 본원 화재로 분원 개념인 대구센터의 존재감이 커지면서 정가에서는 이를 유치해 낸 지역 정치권의 노력이 재조명되고 있다. 당시 여러 광역단체가 유치전에 뛰어들었으나 대구시와 정치권의 공조 덕에 지금의 대구센터를 만들 수 있었다는 분석이다.
제3국가통합전산센터(현 국자원 대구분원)는 2005년 대전 제1전산센터, 2007년 광주 제2전산센터가 설립된 뒤 이명박·박근혜 정부를 거치며 꾸준히 건립 필요성이 제기돼오다 2013년 '제5차 국가정보화 기본계획'에 처음 반영됐다.
유치전에는 대구와 부산, 제주, 춘천, 진주 등이 뛰어들었다. 대구는 김범일 시장에서 권영진 시장으로 바뀌는 와중에도 튼튼한 지반과 풍부한 정보통신 인력 기반 등 강점을 앞세워 정부를 설득해 갔다.
당시 19대 국회에서는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의원들이 힘을 냈다. 안행위 간사였던 조원진 전 의원(현 우리공화당 대표)과 안행위 소속 이철우 전 의원(현 경북도지사), 당시 새누리당(현 국민이힘) 원내대표를 맡고 있던 유승민 전 의원 등이 합심해 대구 유치를 위한 물밑 작업을 벌인 것이다.
실제로 조 전 의원과 이 전 의원은 2014년 해당 사업 정부 예산안 심사 과정에서 주도적으로 예산 증액을 요구, 100억원을 추가 편성하는 데 성공했다. 이처럼 대구경북 정치권이 앞장서서 사업의 필요성을 역설하자 국회에서는 일찌감치 '대구 대세론'이 일기도 했다.
각고의 노력 끝에 예산 4천609억원이 투입되는 제3국가통합전산센터는 2015년 3월 대구 유치가 확정됐다. 대구의 경우 타 지자체 대비 입지 조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던 것으로 전해진다.
조 전 의원은 당시를 회상하며 "그때 대구보다 원래 센터가 있던 광주나 대전에 하나 더 놓자는 의견이 처음에는 우세했었지만 지역 정치권이 힘을 합쳐 분산 배치를 요구했다. 세월이 지나고 보니 그 의견이 결국 맞았다"며 "그때 처음으로 '민관협력형 클라우드'를 도입해 이번에 이전도 원활하게 되는 것"이라고 했다.
유치 당시 동구청장을 맡고 있던 강대식 의원(대구 동구군위을)은 "그때 현장 실사 올 때 인근에 저수지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입지를 부각시켰었다"며 "그동안 국자원의 중요성을 다들 잘 몰랐다. 이번 화재를 계기로 대구분원의 위상이 달라진 걸 체감한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李 대통령 지지율 심상치 않다…52%로 3주 연속 하락
中 관광객 '무비자 입국' 문 열렸다…2천700여 명 몰린 인천항 '북적'
'조희대 청문회' 48.9% "부적절"…장동혁, 차기 대통령 적합도 18.3%로 1위
李대통령 "군 장병 처우 개선…국방예산 66.3조원 편성"
김혜경 여사, 이석증으로 어지럼증 호소…한일정상회담 동행 않기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