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캄보디아에서 한국인을 노린 취업 사기·감금·고문 사건이 잇따르면서, 박항서 전 베트남 축구 대표팀 감독이 과거 캄보디아에서 납치 위기를 겪었던 일화가 다시 회자되고 있다.
박 전 감독은 지난해 3월 방송된 SBS 예능 '신발 벗고 돌싱포맨'에 출연해 당시의 상황을 직접 털어놨다. 그는 "(베트남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시절) 2018 U-23 아시안컵에서 준우승한 후 아내와 앙코르와트를 보러 캄보디아 여행을 갔다 왔다"며 "베트남에 밤 10시쯤 도착했는데, 공항에 택시가 없더라. 누가 멀리서 '택시' 하면서 오길래 탔다. 흰 차가 왔는데 음악 소리부터 이상했다"고 말했다. 이어 "톨게이트를 지날 때 돈을 내려고 지갑을 꺼내려는데, 자꾸 내 지갑을 보더라"며 "기사가 한국 돈 1만원을 주면서 베트남 돈과 바꾸자고 해서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했다.
그는 "(베트남) 집을 매일 다니니까 길을 알지 않느냐. 근데 갑자기 산길로 가더라. 아차 싶었는데 '오피스 간다'고 하더라"며 "한참을 가더니 외딴 공터에 차를 세워 '납치됐구나' 싶었다. 아내에게 침착해라' 했다"고 했다. 그는 "기사가 내리더니 베트남 글씨도 모르는데 종이에 사인을 하라고 했다"며 "그때 차문을 박차고 나왔는데, 10명 정도 앉아서 차를 마시고 있었다"고 회상했다.
박 전 감독은 "기사는 날 모르지만 10명 중 한 명은 날 알 수도 있지 않느냐. 문을 열고 내리니 '미스터 박? 박항서?'라고 묻더라"면서 "대화 내용을 추측해보니 '저 사람 왜 데려왔어? 박항서야, 빨리 보내'라는 것 같았다. 대장 같은 사람이 오더니 아내랑 나보고 차 타라고 해 집으로 가라고 했다. 그땐 아찔했지만 추억이 됐다"고 덧붙였다.
이 일화는 최근 한국인을 겨냥한 동남아 지역 범죄가 급증하면서 다시 주목받고 있다. 외교부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납치·감금은 캄보디아에서 221건으로 가장 많이 발생했고, 베트남이 16건, 중국이 14건으로 뒤를 이었다. 폭행·강간·강제추행 피해는 베트남에서 114건으로 가장 많이 일어났고, 두 번째로는 67건이 발생한 중국으로 나타났다. 연락 두절 및 소재 파악 요청을 포함한 실종 피해는 베트남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는데, 지난해에만 195건이었다. 일본과 중국은 각각 146건, 142건으로 뒤를 이었다.
한국인을 표적으로 한 범행은 SNS나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고수익 해외 취업'을 미끼로 접근하는 방식으로 알려졌다. 피해자들은 현지 도착 직후 여권을 압수당하고, 폭행·협박을 당한 뒤 가족에게 몸값을 요구받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지난 7월에는 캄보디아 박람회를 다녀오겠다며 출국한 20대 대학생이 현지에서 숨진 채 발견됐으며, 캄보디아 현지 경찰은 사망진단서에 사망 원인을 '심장마비(고문으로 인한 극심한 통증)'로 적시했다. 또 지난달에는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 도심에서 50대 한국인 남성이 납치돼 폭행·고문을 당하는 사건도 발생했다.
이에 외교부는 지난 10일 밤 9시부터 프놈펜 전역에 '특별여행주의보'를 발령했다. 이는 전쟁이나 정치 불안 상황에서 발효되는 가장 높은 단계의 경보로, "긴급한 사유가 아니라면 방문을 취소하거나 연기하라"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같은 날 조현 외교부 장관은 주한 캄보디아 대사를 직접 초치해 항의했다. 외교 절차상 통상 국장급이 담당하는 사안을 장관이 직접 나선 것은 이례적이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민주당, 1만명 넘는 학원연합 집단당원가입 받았다
주진우 "학부모 유괴 불안 떨 동안 이재명 정부 뭐했나"
김은혜 "중국인 부동산·의료·선거 '3대쇼핑' 방지법 당론추진"
새벽 5시, 인력시장 찾은 김민석 총리…"일자리 많이 늘릴 것"
숨진 양평 공무원 메모 공개되자, 특검 "실제 유서 아냐…강압조사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