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2022년 이후 대구경북 산불피해, 전국서 가장 컸다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산불 피해 88% 경북에… 피해액 7천336억원
복구 실적 0%… 산불 상처 방치
전문가 "단계별 복구 대책으로 예산 지켜야"

경북 산불로 인한 산림 피해 면적이 앞서 산림청이 발표한 규모의 두 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불 주불이 진화된 의성군 안평면 괴산리 산불 최초 발화 지점 상공에서 동쪽으로 바라본 모습. 매일신문 DB.
경북 산불로 인한 산림 피해 면적이 앞서 산림청이 발표한 규모의 두 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불 주불이 진화된 의성군 안평면 괴산리 산불 최초 발화 지점 상공에서 동쪽으로 바라본 모습. 매일신문 DB.

최근 3년간 전국 산불 피해의 상당 부분이 경북에 몰린 가운데, 복구 실적은 0%로 드러났다. 막대한 피해를 입고도 예산이 집행되지 않으면서 피해 회복이 더디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산림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2년부터 올해 9월까지 산불 피해 면적은 전국 13만4천ha에 달했다. 이 가운데 경북이 1만8천126ha를 차지해 가장 넓은 피해를 입었다. 발생 건수 역시 253건으로, 경기(432건)에 이어 전국 두 번째로 많았다.

경북의 경우 올해 3월 대형 산불이 발생하면서, 피해 규모가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전체 사망자 37명 중 27명, 부상자 164명 중 120명이 경북에서 발생했다. 피해액 또한 전체 8천341억원 중 7천336억원(87.9%)을 차지했다.

대구도 예외가 아니다. 산불 피해 면적은 422.61ha로, 7개 특·광역시 가운데 가장 많았다. 올해 4월 함지산을 비롯해 서변동, 시지동 등에서 잇따라 산불이 발생한 영향이다.

문제는 복구가 제때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올해 산림 복구에는 9천93억원이 이미 배분됐지만, 복구 실적은 0%였다. 산림청이 예산을 내려보냈음에도 지자체가 복구 사업을 추진하지 못한 것으로 풀이된다.

예산 집행은 반복적으로 지연됐다. 집행률은 2022년에도 56.9%, 2023년 73.9%, 2024년 72.9%로 80%가 채 되지 않았다.

특히 2022년 울진 산불의 경우 피해 면적이 1만4천140ha에 달하지만, 3년이 지난 현재 복구율은 89%에 불과했다. 같은 해 다른 지역(95~100%)보다 낮은 수치다.

전문가들은 낮은 집행률이 예산 축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한다.

정태헌 경북도립대학교 소방방재과 교수는 "어떤 수종을 심어야 뿌리가 깊고, 다시 불이 번지지 않을지를 조사하느라 섣불리 예산 집행을 못하는 것"이라며 "먼저 임도 건설과 산사태 방지에 힘쓰고, 장기적으로 조림에 나서는 식으로 예산을 집행해야 한다"고 했다.

대구시 역시 단계별 복구를 진행하면서, 가능한 한 신속하게 마무리하겠다는 입장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함지산의 경우 산림청 예산으로 긴급 복구를 마쳤고, 추가 조치도 내년 우수기 전까지 완료할 예정"이라며 "피해 면적이 넓은 만큼 조림 완료까지는 3년 이상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지만, 하루 빨리 마무리하겠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