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단독] "지하수가 위험하다" TK 수질검사 부적합률 72%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TK 지하수 관정 72.1% 수질 기준 초과 오염물질 검출
전국적으로도 TK 수질 하위권
조지연 "정기적인 수질검사 이뤄져야"

지하수 자료 사진. 연합뉴스
지하수 자료 사진. 연합뉴스
조지연 국민의힘 의원(경산)
조지연 국민의힘 의원(경산)

대구경북(TK) 시도민들이 음용을 목적으로 하는 지하수 상당수가 마시기 부적합한 상태인 것으로 드러났다. 먹는 물 안전 확보를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20일 조지연 국민의힘 의원(경산)이 국립환경과학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TK지역의 지하수 관정 165곳 중 119곳(72.1%)에서 수질 기준을 초과하는 오염물질이 검출돼 마시기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질기준보다 초과 빈도수가 가장 많았던 것은 총대장균군으로 총 79회 기준치를 웃도는 결과가 나왔다. 이어 일반세균 58회, 분원성대장균군 46회, 탁도 32회, 대장균 23회, 질산성질소 12회, 알루미늄 10회 순으로 검출됐다.

전국적으로도 TK의 수질은 하위권에 그치고 있다. 같은 조사에 따르면 전국 지하수 관정 2천곳 조사 결과 1천237곳(62%)가 마시기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TK는 전북 82.9%, 전남·광주 78.6%에 이어 전국에서 세 번째로 지하수 음용 부적합률이 높았다.

이번 조사를 통해 지하수를 이용하는 동안 수질검사를 단 한 번도 받지 않은 곳도 확인됐다. 조사에 따르면 전체의 67.2%가 지하수를 이용하는 동안 수질검사를 단 한 번도 받지 않았거나 1회만 받은 것으로 나왔다. 수질검사를 받지 않은 이유로는 '몰랐다'(46.9%), '비용이 비싸다'(28.3%)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조 의원은 "먹는 물은 국민 건강과 직결된 문제인 만큼, 누구나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지하수를 음용수로 이용하는 지역에서는 정기적인 수질검사가 이뤄지고, 취약한 곳은 시설개선 등이 조속히 이뤄질 수 있도록 적극적인 조치를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