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온수로 요리하면 위험… 중금속 오염 경고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K푸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한국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들이 찾는 음식도 다양해지고 있다. 한국관광공사는 2018년부터 지난 7월까지 외국인 신용카드 소비 건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김치, 불고기, 비빔밥 등 전통적인 한식과 함께 라면, 김밥, 길거리 간식 등
K푸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한국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들이 찾는 음식도 다양해지고 있다. 한국관광공사는 2018년부터 지난 7월까지 외국인 신용카드 소비 건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김치, 불고기, 비빔밥 등 전통적인 한식과 함께 라면, 김밥, 길거리 간식 등 '일상 음식'에 대한 외국인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고 20일 밝혔다. 이날 서울 명동에서 외국인 관광객이 간식거리를 고르고 있다. 연합뉴스

보일러나 온수를 사용해 음식을 조리하는 것은 건강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는 주의가 나왔다. 세계보건기구(WHO)와 미국 환경보호청(EPA)에 따르면, 음용수나 식재료를 조리할 때 반드시 냉수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냉수는 정수처리를 거쳐 빠르게 가정으로 공급되는 반면, 온수는 보일러나 온수기의 배관을 거쳐 나오는 과정에서 여러 위험 요인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배관 내 오래 고여 있거나 보일러 탱크에 머물던 물은 구리, 납, 니켈, 철, 아연 같은 중금속에 쉽게 오염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물의 온도가 상승할수록 납과 같은 물질의 용출이 증가하며, 낡은 배관에서 발생할 위험은 더욱 커진다. 이는 실제 사례로 확인된 바 있으며, 지난 2022년 서울 마포구의 한 아파트에서는 온수에서 페놀이라는 독성 물질이 기준치를 초과하여 검출된 바 있다.

중금속은 끓여도 쉽게 제거되지 않는 반면, 수돗물의 염소 소독 과정보다 생성될 수 있는 발암물질이나 박테리아는 가열로 충분히 제거될 수 있다. 중금속 오염은 신경계, 신장, 간, 그리고 혈액 및 호흡기 등에 손상을 줄 수 있으며, 발암물질로 작용할 가능성도 적지 않다. 특히 어린이와 임산부에게 심각한 건강 위협을 일으킬 수 있다.

납은 신경 발달 및 학습 장애, 행동 문제 등을 초래하며 어린이의 두뇌 발달에 악영향을 끼친다. 수은은 중추 신경계 손상 및 기억력 감퇴 등을 유발하고, 카드뮴은 신장 기능 저하와 골격 약화, 암 발생 위험 증가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만성 중독으로 인해 신경 장애, 면역력 저하, 만성 신장 질환, 생식 및 발달 이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라면이나 국물 요리를 온수로 조리할 경우, 중금속 섭취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음식 조리 시에는 반드시 냉수를 사용하고, 장시간 사용하지 않은 수돗물은 10~30초 동안 흘려보내 불순물을 제거한 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수돗물에서 중금속이 검출되면 즉시 사용을 중단하고, 보건 당국이나 수질 관리 기관에 신고하며, 정수기 사용이나 생수를 대체 음료로 사용하길 권장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