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월 산업생산이 한 달 만에 반등했지만 내수 부진은 여전했다. 정부의 2차 소비쿠폰 지급에도 소매판매가 두 달째 감소하며 소비 회복세가 좀처럼 살아나지 않고 있다.
31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9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산업생산 지수(계절조정)는 전달 대비 1.0% 증가했다. 산업생산은 4~5월 마이너스를 기록한 뒤 6~7월 증가세로 전환했으나, 8월 0.3% 감소했다가 다시 반등했다.
부문별로 보면 광공업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서비스업에서 생산이 늘었다. 광공업 생산은 반도체(19.6%) 등에서 늘었으나 자동차(-18.3%), 기계장비(-6.9%) 등에서 줄며 지난달보다 1.2% 감소했다. 소형승용차, 대형승용차 등 완성차 생산이 줄었고 반도체조립장비, 프레스기 등 특수 목적용 기계 생산도 감소했다.
1년 전 같은 달과 비교하면 통신·방송장비(-8.8%) 등에서 줄었으나 반도체(32.5%), 자동차(10.9%) 등에서 늘어 11.6% 증가했다.
제조업 재고는 지난달보다 2.2% 증가했고, 1년 전 같은 달보다 4.3% 감소했다.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73.4%로 지난달보다 1.2%포인트(p) 하락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예술·스포츠·여가(-8.4%) 등에서 줄었으나 도소매(5.8%), 금융·보험(2.3%) 등에서 늘어 지난달보다 1.8% 증가했다. 생활용품 도매업, 기계장비 및 관련 물품 도매업 등에서 늘었고 금융 지원 서비스업, 기타 금융업 등에서도 증가했다.
1년 전 같은 달과 비교하면 예술·스포츠·여가(-1.8%)에서 줄었으나 도소매(12.5%), 금융·보험(4.5%) 등에서 늘어 6.2% 증가했다.
건설업 생산도 11.4% 급증하며 전체 생산 증가를 견인했다. 건설기성(불변) 역시 11.4% 늘어 회복세를 뒷받침했다. 건설기성(불변)은 건축(14.8%) 및 토목(2.9%)에서 공사실적이 모두 늘어 지난달보다 11.4% 증가했다. 비주거용 및 주거용 공사실적이 모두 늘어난 영향이다. 1년 전과 비교하면 건축(-3.1%) 및 토목(-7.7%)에서 공사실적이 모두 줄어 4.3% 감소했다.
건설수주(경상)는 공장·창고 등 건축(-8.4%) 및 철도·궤도 등 토목(-9.2%)에서 수주가 모두 줄어 1년 전 같은 달보다 8.6% 감소했다.
소매판매액지수는 전월보다 0.1% 줄어 8월(-2.4%)에 이어 두 달 연속 감소했다. 통신기기·컴퓨터 등 내구재(3.9%)에서 판매가 늘었으나 의복 등 준내구재(-5.7%), 차량연료 등 비내구재(-0.1%)에서 판매가 줄면서다. 7월 1차 소비쿠폰 지급 당시 2.7% 증가했던 소비는 8월 이후 다시 위축되며 내수 회복세의 한계를 드러냈다.
투자 부문은 뚜렷한 회복 흐름을 보였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제조용 기계류 투자가 늘면서 전월 대비 12.7% 급증했다. 경기 지표도 소폭 개선됐다. 경기동행순환변동치는 0.2p, 선행순환변동치는 0.1p 상승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최민희 딸 "작년 결혼했다" 스스로 페북 표시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
장예찬 "강유정 포르쉐가 장동혁 시골집보다 비쌀 것"
한미 관세 협상 타결…현금 2천억+마스가 1500억달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