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water 낙동강유역본부는 지난 6일 유역본부 대회의실에서 '낙동강유역 수자원 성과공유 및 소통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번 워크숍은 올해 여름철 홍수기를 안전하게 마무리한 유역 물관리 성과와 향후 물관리 발전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낙동강유역 내 20개 다목적 및 용수댐, 8개 다기능 보, 낙동강하굿둑 등 총 29개 시설의 주요 현장 지사장과 본부 직원 등 50여 명이 참석했다.
올해 낙동강유역본부는 기록적인 폭우와 변동성 높은 기후 등 예측하기 힘든 극한기후 여건에도 안전한 물관리라는 목표로 홍수기 동안 24시간 비상대응체계를 유지했다.
연초부터 유역본부는 선제적으로 유역 내 수자원시설과 방류설비에 대한 수문 동작 상태 및 안전 점검을 완료하고, 댐 홍수조절용량을 홍수기 도래 전 확보를 완료해 홍수기 준비 태세를 확립했다.
일부 지역에는 강우부족으로 인한 가뭄이 발생했다. 6월에는 영천댐과 운문댐이, 8월에는 안동·임하댐이 용수공급조정기준에 의거 가뭄 '주의'단계에 진입했다.
이에 유역본부는 댐 간 연계운영, 댐 용수감축 등 댐 별 가뭄대책을 수립·시행해 가뭄에 대응했으며, 홍수기 말 댐 저수용량 확보를 통해 유역 전 댐이 가뭄 '정상'단계로 회복했다.
조영식 낙동강유역본부장은 "올해의 성과는 향후 미래 안전한 물관리를 위한 초석"이라며 "극한 기후위기 시대에 맞춰 지속가능한 물관리 체계를 만들어가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몸싸움·욕설로 아수라장된 5·18묘지…장동혁 상의까지 붙들렸다
李대통령, '내란특검' 수사기한 연장 승인
광주 간 장동혁, 5·18 묘역 참배 불발…시민단체 반발에 겨우 묵념만
법무부 내부서도 "대장동 항소 필요" 의견…장·차관이 '반대'
한강서 '군복 차림' 행진한 중국인 단체…"제식훈련도 아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