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회 APEC 특위 기한 늘리고 '포스트 APEC' 논의해야"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국회 APEC 지원특위 연말로 활동기한 종료
APEC 성과 이어갈 사업에 국회 관심 절실
"기한 늘리고 명칭도 '포스트 APEC'으로 바꾸자"

국립경주박물관은 최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2025를 계기로 한미 정상회담과 한중 정상회담이 열렸던 공간을 일반 관람객에게 특별 공개한다고 5일 밝혔다. 사진은 국립경주박물관 특별전시관 내 정상회담장. 연합뉴스
국립경주박물관은 최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2025를 계기로 한미 정상회담과 한중 정상회담이 열렸던 공간을 일반 관람객에게 특별 공개한다고 5일 밝혔다. 사진은 국립경주박물관 특별전시관 내 정상회담장. 연합뉴스

2025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성과를 이어가기 위한 국회 차원의 지원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연말 종료되는 국회 APEC특위 기한을 늘리고 이름도 바꾸자는 제안이 나오고 있다.

13일 정치권 안팎에서는 APEC 성공 개최에 따른 파급 효과를 이어가려는 논의가 활발하다.

여당은 대미투자특별법 등 정부의 후속 조치에 필요한 입법 지원에 힘을 쏟을 각오다. 경북도, 경주시 등은 APEC 문화의전당 건립, 아시아태평양 AI(인공지능)센터 유치 등 다수 '포스트 APEC 전략' 사업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국회 차원의 APEC 관련 협의 기구는 연말 사라질 상황에 놓여있다. 지난 3월 13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APEC지원특위 구성의 건은 특위 활동기한을 올해 12월 31일까지로 하고 있다.

정치권 관계자는 "포스트 APEC 논의가 중요하다는 건 여야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겠느냐"면서 "특위 기한을 연장하고, 이름에도 '포스트'를 넣는 방안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APEC을 보수 지지세가 강한 경주에 유치하는데 앞장섰던 것도 국민의힘이었다"면서 "그 성과를 여권이 다 가져가는 걸 방치하거나 애써 폄훼할 게 아니라 포스트 APEC 논의에 야당이 먼저 나서 의제를 끌고 갈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