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李지사 "신라 금관 6점 고향에 모아야, 순회 전시 타협점 찾겠다"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경북 경주에서 성공적으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신라 금관 6점 모두를 '고향'에 모아 상설 전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가운데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지역 순회 전시' 등 적절한 타협점을 찾아야 한다고 밝혔다.

20일 경북도·경주시 등에 따르면 국립경주박물관은 APEC 정상회의와 경주박물관 개관 80주년 등을 기념해 지난 2일부터 신라 금관 특별전을 열고 있다. 특별전은 당초 다음달 14일까지만 열릴 예정이었으나 관람객 발길이 이어지면서 내년 2월22일까지 전시 기간이 연장됐다.

특별전은 관람객들의 폭발적 관심을 받고 있다. 경주박물관이 일일 관람 인원을 2천550명으로 제한했음에도 현재까지 3만여 명 이상이 찾았다.

현존하는 신라 금관 6점은 유물의 안전·보존 등을 이유로 분산 소장 중이다. 금령총·황남대총 금관은 국립중앙박물관(서울), 금관총·천마총·교동 고분 금관은 경주박물관, 서봉총 금관은 국립청주박물관(금속공예 특성화 박물관)에 분산·전시해 왔다. 이번 특별전이 끝나면 각각 중앙박물관과 청주박물관으로 다시 옮겨질 예정이다.

경주지역 시민·사회 단체는 '발굴지-전시장 일체 원칙'에 따라 금관이 출토된 경주에 이를 보존·전시해야 유물의 가치를 발휘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경주문화원 등 경주 지역 시민·사회단체는 이달 말 '신라 금관 경주 존치 범국민운동본부'를 출범하고 시민청원에 나설 계획이다.

전문가들의 의견은 엇갈리고 있다. 신라 금관이 백제 금동대향로(국립부여박물관 소장) 같이 1점밖에 없다면 경주에 소장·전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6점이나 되는 신라 금관의 경우 분산을 통해 더 많은 관람객들이 향유할 수 있독 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APEC을 통해 높아진 국민적 관심을 장기적·지속적으로 이어가기 위해 2~3년 혹은 3~5년에 한 차례씩 서울·경주 등에서 정례적으로 순환 전시를 하자는 주장도 있다.

이와 관련, 이철우 도지사는 19일 도청에서 열린 포스트 APEC 사업 브리핑을 통해 '지역 순회 전시' 등 대안을 언급했다.

이 도지사는 "전국에 흩어져 있는 금관을 경주에서 상시 전시하면 가장 좋겠지만 쉽지 않을 것 같다. 도에서도 경주에 돌려달라고 최선을 다하고 있는데, 타 지역에서 이를 양보하지 않을 것이라 본다"며 "우리가 소장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 하면서 타협점을 찾는 게 좋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