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론 머스크가 개발 중인 인공지능(AI) 모델 '그록5(Grok5)'가 세계 최정상급 리그 오브 레전드(LoL) 팀과의 정면 승부를 제안했다. 이에 LoL 월드 챔피언십 우승팀 T1이 공식적으로 "우린 준비됐다"고 화답하면서, AI와 인간 프로게이머 간 대결이 성사될지 이목이 집중된다.
25일(현지시간) 머스크는 자신이 운영하는 소셜미디어 플랫폼 엑스(X)를 통해 "그록5가 2026년 최고의 LoL 인간 팀을 이길 수 있을지 시험해 보고 싶다"고 밝혔다. 그록5는 머스크가 이끄는 AI 스타트업 xAI가 개발 중인 차세대 생성형 모델로, 내년 1분기에 공개될 예정이다.
머스크는 그록5의 특징에 대해 "설명서를 읽고 직접 실험해 보는 것만으로 어떤 게임이든 플레이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고 밝혔다. 기존 룰 기반 알고리즘이 아닌, 인간처럼 상황을 학습하고 추론하는 방식으로 게임을 이해한다는 설명이다.
그는 그록5가 "모니터 화면만 볼 수 있고, 인간의 정상 시력 수준(20/20, 한국 기준 1.0)으로만 인식하며, 반응 속도와 클릭 속도도 인간 수준으로 제한"될 것이라고 밝혔다. 즉, AI가 인간과 동등한 환경에서 경쟁하도록 하겠다는 뜻이다.
이에 LoL의 세계 최강팀으로 꼽히는 T1은 공식 소셜미디어 계정을 통해 응답했다. T1측은 '페이커' 이상혁의 사진과 함께 "우린 준비됐다(We are ready). 당신은?"이라고 반응했다.
AI가 인간과 대결하는 사례는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16년 구글 딥마인드의 '알파고'는 바둑기사 이세돌 9단과의 5번기에서 4승 1패로 승리한 바 있다. 당시 이세돌이 거둔 1승은 '인간의 가능성'을 보여준 상징적 승리로 평가받았다. 2019년에는 오픈AI(OpenAI)가 개발한 AI 팀 '오픈AI 파이브(OpenAI Five)'가 전략 게임 도타2(Dota 2)에서 당시 세계 최강팀 OG를 상대로 2대 0 완승을 거뒀다.
그록5의 실제 경기력과 AI가 실시간 협동이 중요한 LoL과 같은 팀 기반 게임에서 어느 수준까지 적응할 수 있을지는 아직 검증되지 않았다. 특히 LoL은 빠른 판단력과 상황 인식, 팀 간의 전략적 소통이 핵심인 만큼, 단순한 데이터 처리 능력 이상의 '게임 감각'이 필요한 장르로 꼽힌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가슴이 벅차오른다"…누리호 발사 성공 축하
김민석 총리 "아동수당 지급, 만13세까지 점진적 확대해야"
尹변호인들 "민주당만도 못한 국힘 쓰레기 XXX…국민 외면하고 무슨 정치를 하나"
李대통령, 순방 마치고 귀국…물가안정 등 국내현안 집중
대구 찾은 김경수 "내년 지선, 정부 국정 동력 확보에 중요한 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