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문화원 향토사랑 제 11집 나와"문경지방에 도자기 수공업이 처음 들어온 16세기 이래의 자취를 정리한 문경의 도요사 가 문경문화원(원장 이창교) 향토사료 제11집으로 나왔다.
葬制를 통해 옛문화를 복원할 수 있는 고분 유적과는 달리 대표적 생산유적인도요사에 대한 기록물이 많지 않은 실정에서 이 사료집은 문경 도요의 과거와미래를 이어주는 길잡이가 될 것으로 보인다.
문경이 16세기부터 民窯가 경영되기 시작, 도자기 고장으로 자리잡은 것은 소백산맥이 동서로 뻗어 천혜의 연료공급원을 갖추고 있는데다, 예천 상주지방과 연결된 陶土벨트 에 속하고, 관음리등에 대량의 맑은 물이 흘러 도자생산에 필요한 자연적, 사회적 조건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이 지역의 도자기는 동로면 인곡리 사기점 에서 시작, 종곡 소야 생달 적성 갈평 관음지역으로 전파되었고 관음요는 조선후기 일제 강점기를 거쳐 오늘날 문경도자기의 맥을 이어주고 있다.
이 문화원 부설 향토사연구소 신동철소장은 전통문화 중에서 도자기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큰데도 연구의 기본사료가 부족하고 도요지가 파괴돼 도요사정립이 힘들다 고 밝혔다.
이 책에는 관음요(김복만) 조령요(신정희) 관동요(강성규) 영남요(김정옥) 문경요(천한봉) 뇌암요(김성기) 진안요(서선길) 주흘도요(이정환) 황담요(김억주) 일맥요(황병주) 조선요(김병식) 등 국내외에서 사랑받는 문경도자기를 생산하는요와 장인을 소개하고 있다.
향토사연구소 김규천씨는 사기로 불리는 도자기가 집집마다 생활용품으로 쓰였으나 현대 산업화로 인해 실생활과 멀어지고 장식용, 차그릇용으로 사용된다고 아쉬워한다.
〈崔美和기자〉
댓글 많은 뉴스
대법원 휘저으며 '쇼츠' 찍어 후원계좌 홍보…이러려고 현장검증?
장동혁 "어제 尹면회, 성경과 기도로 무장…우리도 뭉쳐 싸우자"
[단독] 카카오 거짓 논란... 이전 버전 복구 이미 됐다
[사설] 대구시 신청사 설계, 랜드마크 상징성 문제는 과제로 남아
박정훈 "최민희 딸 결혼식에 과방위 관련 기관·기업 '축의금' 액수 고민…통상 정치인은 화환·축의금 사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