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의 달성군 다사면 문산리 정수장 건설 계획이 철회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등 이 일대 문화재 보전 문제가 지역의 새 이슈로 대두될 조짐이다.
대구 문화재 지키기 시민모임(대표 김계숙) 등에 따르면, 대구시는 이곳 부지 9만여평에 정수장을 건설할 계획이나, 6세기 쯤의 고분군이 집중(1천여기)돼 있는 것으로 보인다는 것. 또 같은 시기에 건설된 인접 문산리 산성이 원형이 잘 유지된 채 남아 있어 고분군을 발굴해 정비하고 산성과 연계하면 중요한 유적지로 복원될 수 있으며, 정수장 부지에 인접한 논밭들도 당시의 주택지였을 가능성이 높아 동시 발굴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 주택지와 고분군.산성이 연계 발굴.복원되면 신라 삼국통일의 전초기지가 됐던 이 지역의 옛 역사 재현에 매우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관계자는 기대했다. 다사지역의 이 산성은 '일본서기'에까지 '대사(帶沙) 산성'이라고 지칭돼 당시 상황이 서술돼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대구시는 2011년 예상 인구를 위해 이 정수장을 건설키로 했으며, 현재 도시계획 절차가 완료됐고 부지 매입도 80% 가량 진척됐다고 시 상수도 사업본부 이학(李鶴) 시설부장은 밝혔다.
대구시는 이미 지난해 대구대 박물관에 맡겨 지표조사를 했으나 모습이 드러난 고분 7기만 대상으로 했다는 것. 그러나 최근 관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자 부지 전체로 지표조사를 확대키로 방침을 변경, 준비 중이라고 이부장은 말했다.
대구문화재지키기 시민모임 등 문화재 보호론자들은 "대구시의 이같은 소극적 태도로 봐 건설 추진에만 치중하느라 발굴 조차 제대로 할지 믿기 어렵다"며 유적 살리기 범시민 서명운동을 벌이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