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자제를 훌륭하게 성장시켜 국토방위의 역군으로 보내주신 귀하의 성원에 감사드립니다. 부모님의 애틋한 사랑만큼이나 저희들도 조국에 대한 희생과 봉사, 그리고 부모님의 사랑과 은혜를 가슴으로 느낄 줄 아는 청년으로 키워 이 나라 국방력 강화의 초석으로 만들 것을 약속 드립니다'
아들애가 입대할 때 입고 간 옷가지를 반듯하게 접어 보낸 소포를 받고 마음앓이를 하고 있는데, 중대장이 편지를 보내 왔다.
이십 수년 전 아들을 낳은 후부터 지금까지 군대에 보내야 한다는 부담에서 잠시도 놓여날 수가 없었다. 마침내 지난달 아들애는 공부하던 책을 깊이 접어 두고 훈련병이 된 것이다.
병역 복무 형태에 빗대어 세간에 떠도는 말들이 많았다. 면제는 신의 아들, 방위는 장군의 아들, 현역 복무는 어둠의 아들이라고 하던가. 그런 의미에서 본다면 현역 복무를 하게 된 아들애는 어둠의 아들로 분류되겠지만 그건 당치않다. 아들애는 분명 밝은 곳에서 살아가는 보통 사람의 아들이기 때문이다.
어느 단체가 젊은이들을 상대로 한 설문 조사에서 '만약에 전쟁이 난다면 어떻게 하겠는가'라는 물음에 상당수가 외국으로 도망가겠다고 대답했단다. 이 얼마나 아연하고 부끄러운 발상인가.
'보통 사람의 아들들'을 위하여, 아니 아들을 군대에 보내 놓고 잠 못 이루는 보통 사람들을 대신하여 나는 '어느 훈련병 어머니'라는 이름으로 중대장에게 격려와 성원의 편지를 보내며 마음앓이를 달래고 있다.
〈수필가〉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