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바뀌나…" "서울대 때문에 학생들 지도가 꼬이게 됐구먼…" "우리 애는 어떻게 되지…"
엊그제 서울대가 현재 고교 2학년생들이 대학에 들어가는 2002학년도 입시방안 발표를 듣고 터뜨린 일선교사와 학부모들의 우려섞인 목소리 들이다.
종전의 수능과 학생부 위주로 선발하던 방식에서 탈피, 논술을 폐지하고 전면 추천제를 도입하면서 면접.구술고사 등 다양한 자료를 활용한다는 게 골자이다.
서울대 입시요강에 따라 다른 대학들의 입시방침이 영향을 받게 되고 전국 고교들의 진학지도 방향도 수정을 할 수밖에 없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일선 고교에서는 벌써'추천제 부작용'을 우려하는 반응과 함께 등급화 되는 대학과 학생 개개인의 입맛을 어떻게 맞추냐며 입시지도의 한계를 곱씹고 있으나 묘수는 아직 오리무중. "학부모들이 조금이라도 더 나은 추천서를 받기 위해 이곳 저곳 기웃거리며 일으킬 치맛바람을 막을 장치는 있는지 모르겠다"며 걱정어린 푸념을 토해내는 고3 담임교사들.
논술도 교사들의 혹덩어리. "서울대가 논술을 폐지한다고 해놓고도 또 도입할땐 어떻게 대응하며, 다른 대학이 논술을 치르는데 외면할 수 없지 않느냐"는 게 교사들의 고민거리이다.
이 사이에서도 "내 자식은 꼭 명문대(名門大)에 보내야지"하며 추천제를 어떻게 활용할지를 고민하는 학부모들도 있을 것은 뻔한 이치이다.
그러나 추천제 전형이 추천서 작성에 뒤따르는 부담과 객관성 확보 문제등을 곰곰이 따져 보면 이 또한 간단찮다.
무조건 '이 학생은 품행이 방정하고 학업성적도 뛰어나 다른 사람의 모범이 된다'고 일률적으로 천거했을때 무엇을 잣대로 우열을 가릴 것인가.
수능점수로 지원자격을 제한하겠다는 게 2002학년도 서울대 입시방안의 속내이다. 결국 점수이다.
제대로 된 인간을 육성하고 특기와 적성을 최대한으로 살리겠다는 당초의 취지는 한낱 빛바랜 종이로 변해버렸다.
이러한 지적은 입학전형에 반영되는 학생부와 각종 추천서의 신뢰성과 공정성의 확실한 담보와 고질적인 과외불식.전인교육의 문제가 숙제로 남기 때문이다.
그렇찮아도 지난 4월말 헌법재판소의 과외금지 위헌결정 이후 공(公)교육이 최대의 위기를 맞고 있다는 게 중론.
입시제도에 따라 우왕좌왕하는 오늘의 교육현실을 바라보는 우리의 서글픈 자화상으로 치부해 버리는 것이 되레 속이 편할지 모른다.
학교붕괴의 원인은 어디에 있는가?
걸핏하면 바뀌는 입시제도와 교육정책이 교실붕괴 현상을 초래하고 있다는 사실은 접어두는 게 좋을 듯 하다.
너무 많이 거론되고 식상한 소재이기에… '신발끈 꼭 조여 매어 줄테니 열심히 뛰어라'라고 독려해도 현실과 동떨어진 교육여건과 자기 중심적 사고방식을 만드는 가정교육 등에 고개를 흔드는 교사들이 과연 맞장구치며 교실의 제모습을 찾는데 호응할까?
교육현장의 붕괴는 학교만의 현상이 아니라 사회체계 변화의 한 부분에 불과하다고 되받아칠지 모르나 거시적인 안목이 결여된 단견적 대책이 혼란만 부추기는 데 문제가 있다는 점이다.
교권회복과 특성화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교사와 학부모 그리고 교육당국의 협력이 요구되는 대목이다.
지난 2월말 '전국 퇴직교사 협의회' 창립대회에서 초대회장으로 선출된 이규삼(67)씨는 "비록 몸은 교단을 떠났지만 어려운 학교현장을 돕고 싶다"고 취임소감을 밝혔다.
공교육 바로세우기에 이들의 심오한 '교육 노하우'와 열정을 활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계속 사회와 후진들에게 뭔가를 봉사할 수 있다는 자부심을 갖게 하고 배움에 목마른 학생들에게는 수학의 기회를 얻게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빈부의 굴레에 얽매인 교육현실이지만 '우리 모두가 교육자'라는 인식이 뚜렷하면 '공(公)교육은 공(空)교육'이라는 자조는 사라지지 않을까.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