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첫 경선지인 제주(9일)와 울산(10일)지역 판세분석 결과 각 후보들이 대혼전을 벌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종 여론조사 결과 제주, 울산 모두 어느정도 우열은 드러나고 있으나 과반수를 득표하는 후보가 없을 것으로 보여 결국 막판 선호투표로 후보를 결정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선호투표제는 경선결과 과반 득표자가 없을 경우 최저 득표자 순서대로 2순위 지지표를 나눠줘 후보를 결정하는 방식이다.
5일 선거인단 명단이 공개된 후 실시된 각종 여론조사에서 두드러진 점은 울산지역의 영남후보 약진이라고 할 수 있다. 제주의 경우 2위 후보와 1~13% 차이로 이인제 후보가 여전히 1위를 달리고 있지만 울산은 상황이 다르다.
지역정서가 작용한 탓인지 김중권, 노무현 후보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노무현 후보의 약진은 두드러진다. 여론조사 결과 11~13% 포인트 이상 이인제 후보를 앞지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선거인단792명)와 울산(1424명)의 선거인단수를 감안하면 '이인제 대세론'에 제동이 걸릴 수도 있다는 대목이다.
김중권 후보 역시 선두권에서 경쟁을 벌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 후보측은 울산지역 5개 지구당 위원장 중 3명은 김 후보를 밀고 있다며 막판 역전도 기대하고 있다.
결국 여론조사에 불과하지만 초반 경선에서부터 후보간 우열에 이변이 속출하는 등 '이인제 대세론'을 비롯한 당초 민주당 경선 구도가 흔들리고 있는 게 아닌가 하는 관측을 낳고 있다.
이상곤기자 lees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