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는 무늬만 시(市)인가?'.
상주의 도시기반시설 중 도로 포장률은 그나마 양호한 편이지만 상.하수도 보급률은 시라는 명칭이 부끄러울 정도로 낮은 형편이다.상주의 하수도 보급률은 57%로 총연장 312.8km중 179km만 설치됐고 하수처리용량도 2만6천t에 불과하다.
때문에 시간당 40mm의 비만 와도 시내 저지대가 온통 물에 잠겨 상가와 주택이 해마다 장마철이면 침수피해를 입고 있다. 하수도 설치에 드는 비용은 3천120억원.
현재의 시 재정상태로는 엄두조차 낼 수 없기 때문에 하수관 설치 장기수립이 세워진 오는 2021년까지는이들 지역의 물난리가 계속될 전망이다.
상수도 보급률도 56%에 불과하다. 12만2천277명 중 급수인구는 6만8천678명. 주민의 절반만 상수도 혜택을 받고 나머지 주민들은 지하수.지표수.소형관정.용천수.하천수 등으로 식수를 해결, 각종 수인성 전염병에 그대로 노출돼 있다.
특히 이들 간이급수 시설 중 상당수가 만든지 10년 이상 지난 것으로 녹물.부유물이 섞여 비위생적이다.
간이급수 시설 225곳 중 10년 미만은 70곳에 불과하고, 나머지 68%인 155곳은 10년 이상이 지나 위생문제가 심각한 실정이다.
상주.박동식기자 parkds@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사설] 대구시 신청사 설계, 랜드마크 상징성 문제는 과제로 남아
박정훈 "최민희 딸 결혼식에 과방위 관련 기관·기업 '축의금' 액수 고민…통상 정치인은 화환·축의금 사양"
[단독] 카카오 거짓 논란... 이전 버전 복구 이미 됐다
장동혁 "어제 尹면회, 성경과 기도로 무장…우리도 뭉쳐 싸우자"
한동훈 "尹 돈 필요하면 뇌물받지 왜 마약사업?…백해룡 망상, 李대통령이 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