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대 대통령 선거일(12월19일)이 50여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지방행정기관과 검찰·경찰 등이 준비체제 갖추기에 본격적으로 들어가고 있다.대구지검은 최근 공안부 검사 및 수사관 10여명으로 전담수사반을 편성해 선거사범 단속을 강화했으며, 다음달 중에는 비상근무를 시작할 예정이다. 검찰은 금전 뿌리기 및 흑색선전, 인터넷 등을 통한 유언비어 유포 행위 등을 중점 단속 대상으로 삼고 있다.
대구경찰청은 22일 지방본청 및 산하 8개 경찰서에 10여명씩으로 구성된 선거사범 단속 전담반과 상황실을 설치하고 현판식을 가졌다. 또 급증하는 사이버 선거사범에 대처하기 위해 지난 12일 지방청 사이버수사반(5명)을 사이버 수사대(8명)로 확대개편해 24시간 검색 체제를 가동하기 시작했으며, 선거 범죄 신고자에게는 최고 1천만원까지 보상금을 지급키로 했다.
경북경찰청도 22일 도내 25개 경찰서에 '선거사범처리상황실'을 설치하는 한편, 수사전담반 25개반 186명, 광역기동단속반 1천140명을 투입해 금품살포, 후보비방, 흑색선전, 지역감정조장 등 주요 4대 선거사범을 집중단속한다. 또 인터넷을 통한 불법선거사범 단속을 위해 사이버 범죄 수사요원 52명을 배치했다.
투표 준비를 맡은 대구시청은 지난 15일 구·군 및 읍·면·동사무소 직원 400여명을 대상으로 선거인 명부 작성, 부재자 신고서 처리 등 선거업무 요령을 교육한데 이어, 대통령 선거와 관련한 각종 행사가 금지되는 오는 28일부터는 토요알뜰장터, 교양강좌, 민원 관련 공청회, 체육대회 등을 전면 중단키로 했다. 시청은 다음달 하순 선거지원기구를 공식 발족해 선거체제로 전환할 예정이다.
한편 기부행위 제한 개시일이었던 지난 6월22일부터 선거사범 단속반을 운영하기 시작한 대구시 선관위는 감시를 강화, 앞으로 적발자는 적극적으로 고발 및 수사 의뢰키로 했다. 지난 7월 관련 감시 활동에 착수한 경찰도 전국적으로 이미 관련 사범 149명을 적발해 5명을 구속하고34명을 입건하는 한편 63명에 대해서는 수사를 계속 중이다.
이대현기자 sky@imaeil.com
이종규기자 jongku@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