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후보들이 여론조사 결과를 두고 속앓이를 하고 있다. 각종 여론조사 결과, 지지율이 몇달간 정체돼 있거나 하향곡선을 그릴 조짐인데다 반등의 기회를 잡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회창 후보=1위를 고수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소 느긋한 입장이나 35% 안팎의 지지율 정체가 고민이다. 당선 예상 안정권인 40%대의 진입에 동분서주 하고 있지만 반등이 쉽지 않다. 20~30대 지지율을 끌어올리기 위해 각 시·도지부 마다 '2030대책위'까지 만들었지만 변화폭은 현재까지 미미하다. 또 영남권의 지지율이 50%에 그친 것도 고민거리다. 일각에서는 "당 지도부가 박근혜 의원의 복당설을 흘린 것이 영남정서를 타진하려는 시도"라는 얘기가 나돈다.
△노무현 후보=민주당 선대위 국민참여운동본부(본부장 정동영·추미애)는 "당이 비상상황이지만 현상유지나 고착보다는 차라리 낫다"며 "분란 속에서 노 후보가 정체성을 확실히 다지면 역전의 기회가 온다"고 말했다. 이 말을 반증이라도 하듯 4자 연대 논의가 여론의 역풍을 맞으면서 한화갑 대표 계열 의원들과 비노(非盧) 및 중도파 일부 의원들이 노 후보 지지로 돌아서고 후원금마저 폭증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지지율에 어떻게 투영될 지는 현재로선 미지수다.
△정몽준 의원=지지율 하락 조짐이 심상치 않다는 판단이다. 4자 연대가 주춤하고 박근혜 의원의 영입도 쉽지 않다. 게다가 정 의원의 정체성 문제가 연일 도마에 오르고 있다. 정 의원측은 북한 핵 문제와 한나라당의 'DJ 양자론' 공격이 지지율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고 대책마련에 나선 상태다. 또 대북 경제교류 중단 등 일련의 강경발언이 이 후보 지지층인 보수층과 영남권을 의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권영길 후보=지난 6·13 지방선거 결과, 민주노동당의 정당별 지지도가 8.14%를 얻은 점을 감안하면 5%대를 밑도는 지지율이 걱정거리다. 이같은 지지율 침체는 정몽준 의원의 신당 움직임에 밀려 권 후보에 대한 유권자들의 관심이 일시적으로 가라 앉았다는 판단이다. 민노당측은 "정 의원 지지율이 하향곡선을 그리게 되면 20, 30대를 중심으로 한 지지층의 결집이 다시 시작될 것"이라며 "내달부터 노동자와 서민을 대상으로 지지세가 다시 반등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