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정운찬 총장(56)이 23일 여성부 한명숙 장관을 만난 자리에서 이른바 '서울대 우 조교 성희롱 사건'이 재계약에서 탈락된 우 조교의 앙심에서 비롯돼 억울한 사람을 매장한 사건이었으며 당시 우 조교를 지원한 여성운동이 신중하지 못했다는 요지로 발언, 파문이 일고 있다.
이날 발언은 한 장관이 최근 서울대 법대 학생회로부터 서울대 여교수 채용의 확대와 빈발하는 대학내 성희롱 사건에 대한 여성부의 관심을 부탁받은 뒤 정 총장을 프레스센터 19층에서 단독 면담, 서울대가 '여교수 채용 목표제'를 채택해줄 것을 당부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정 총장은 한 장관이 우 조교 사건과 연관지어 학내 성희롱 문제를 언급하자 곧바로 "(신모 교수가) 사회적으로 매장된 것은 문제가 있다. 소장(訴狀)을 보면 40개항목 중 20개가 터무니없는 소리이다. 그러나 판결이 나버리고 나니 그만이다"며 "사실 여성운동이 신중해야 한다"고 우 조교 사건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이어 정 총장은 "어떤 일은 운동 차원에서 해결돼야겠지만 당하는 사람은 아주 죽을 맛이고 매장당하는 것"이라는 논리를 폈다.
정 총장의 발언에 대해 한 장관은 "성희롱 문제에 대한 남성들의 기존 생각은 '이런 것 쯤이야 사회에서 용인되겠지'라는 것이지만 피해자인 여성은 커다란 상처를 받게 된다"며 정 총장의 말에 일일이 반박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