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들어 스와핑(1위) 관련 키워드가 계속 높은 검색횟수를 차지하고 있다.
2001년 초반에는 스와핑이란 단어의 뜻을 묻는 질문이 많았지만 요즘은 '스와핑동호회', '스와핑 게시판', '스와핑 동영상' 등 수많은 관련 키워드들이 검색되고 있다.
우리 사회의 왜곡된 성문화가 가장 극단적인 형태로 표출된 것이 바로 '스와핑'이라는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사투리를 모티브로 제작된 영화가 개봉되면서 전라도 사투리 '거시기'(3위)가 뜨고 있다.
전라도에서는 세상 모든 만물이 '거시기'로 통한다.
수능이 보름 남짓 남았다.
올해는 '수능선물'(2위)로 건강식품, 공기청정기 등이 인기를 끌고 있다.
막걸리에 요구르트를 희석해 마시는 '막구르트'(7)도 인기 검색어. 알코올 희석작용과 함께 요구르트의 당분과 유산균이 취기를 약화시키고 탄산가스를 제거해 불쾌한 냄새를 줄일 수 있다고 한다.
복고풍과 현대적 스타일을 섞어 놓은 듯한 '퓨전헤어'가 주목받고 있다.
계속되는 불경기로 침체된 분위기를 헤어스타일의 변화로 개선시켜 보려는 여성들의 노력이 눈물겹다.
이밖에 전 소속사와의 상표권 분쟁 끝에 바뀐 트랜스젠더 하리수의 새이름 '리수'(5위), 대통령 재신임과 국민투표를 둘러싼 정치권의 치열한 논쟁을 표현한 '치킨게임'(6위)이 검색어 순위에 들었다.
또 전국체전 레슬링 경기 출전을 위해 무리한 감량을 하다 결국 숨진 '김종두'(8위)군과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를 자주 사용하고 비디오게임에 몰두하는 신세대를 비유한 엄지족(10위)이 관심을 모았다.
장성현기자 jacksoul@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