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약수터 물 '자연수'에 불과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시민들이 즐겨찾는 대구시내 약수의 대부분이 보통의 지하수에 가까운 '자연 생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시 보건환경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대구 지역 약수의 화학적 특성 평가'에 따르면 앞산공원 일대 11곳, 팔공산 자연공원 일대 7곳 등 시가 지정.관리하는 약수터 18개소의 물 성분을 조사한 결과 '약수'란 이름을 붙이기에는 칼슘과 마그네슘 등 '약효 성분'이 너무 미미하다는 것.

실제로 약수를 1ℓ 마셨을 경우 경북 청송의 달기약수와 신촌약수는 미국국립과학아카데미(NAS)가 권장하는 미네랄 1일 섭취량 중 칼슘 28~35%, 마그네슘 15~36%, 나트륨은 6~19%를 충족시킬수 있는 반면 대구의 약수는 칼슘 평균 2%, 마그네슘 1%, 나트륨 0.5~1.5%에 그쳐 미네랄 함유량이 현저히 낮다고 설명했다.

송희봉 보건환경연구원 수질보전과장은 "대구의 약수는 약효가 있는 것으로 유명한 충청도나 경북 등 다른 지역의 약수와 비교할 때 특수한 광물질이나 무기물질의 존재량이 매우 적어 약수라는 개념보다는 지하수나 지표수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또 그는 "칼슘 함유량이 높고 나트륨 함유량이 낮을수록 건강한 물, 칼슘.이산화규소가 높고 마그네슘.황산이온이 낮을수록 맛있는 물로 평가 받는다"며 "대구의 약수 가운데 그래도 '건강에 좋은 물'을 꼽는다면 대림 및 도동 약수터, '맛있는 물'은 갓바위.대왕재.달비골 등으로 평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최병고기자 cbg@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