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월(正月)은 한 해를 처음 시작하는 달로서 그 해를 설계하는 달로, 율력서(律曆書)에 따르면 천지인(天地人) 삼자가 합일하며 한해 동안 이루어야 할 일을 계획하고 기원하며 점쳐보는 달이었다.
옛날 농경사회의 정월은 휴식을 취하며 다가 올 한해의 농사를 위해 가마니, 새끼, 퇴비 등을 만드는 조용한 농촌사회의 휴식기이자 준비기였다.
이런 정월에는 설과 대보름과 같은 큰 날이 있지만, 언제 어디서 유래하였는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신라시대에도 정월원단에 왕이 연회를 베풀어 관리들의 노고를 치하하고 일신과 월신에게 제사지냈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늦어도 삼국시대에는 명절로 정착되었던 것 같다.
대보름은 일년 중 달이 가장 큰 날로 7월 백중, 8월 한가위 등과 함께 보름을 모태로 한 절일이다.
고구려시대의 고분벽화에도 달을 상징하는 월상(月像)과 더불어 개구리가 그려져 있는 것으로 볼 때 삼국시대부터 달은 도교의 영향으로 음을 상징하였다.
그리고 농경을 토대로 한 전통사회에서는 대지의 의미를 갖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정월 대보름의 다양한 세시풍속들은 크게 마을행사와 개개인이 할 수 있는 풍속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우선 마을 공동행사로는 동제(洞祭)와 줄다리기가 있다.
지방마다 다소 차이가 있지만, 동제는 가가호호 성의껏 갹출하여 제비(祭費)를 마련하고, 정결한 사람으로 제관을 선출하여 대보름날 자정을 전후한 시간을 이용하여 그 해의 풍요로운 생산과 마을의 평안을 축원하게 된다.
풍요다산을 기원하는 놀이로 줄다리기를 들 수 있다.
이 놀이는 주로 농촌에 전승되어온 것으로 볏짚을 이용하여 암줄과 숫줄을 만든 뒤에 마을단위 혹은 군단위로 편을 나누어 암줄의 승리를 통해 풍년을 기원하기도 하였다.
이밖에도 풍농을 기원하는 지신밟기는 정초부터 대보름 무렵에 마을의 풍물패가 집집마다 돌며 흥겹게 놀아주고 축원해주는 풍습이 있었다.
그리고 개인적인 의례로서는 부럼깨기, 더위 팔기, 액연(厄鳶) 띄우기, 소 나물먹이기 등이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대보름날이 달과 관련된 만큼 그와 관련된 풍속이 많다.
달맞이는 초저녁에 동네인근의 높은 곳으로 가서 달을 맞이하는 것으로 누구보다 빨리 달을 보는 사람이 길하다하여 먼저 달려가 달이 떠오르기만을 기다리기도 하였다.
달집태우기는 보름날 밤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가호호 돌면서 각출한 짚과 솔가지 등으로 언덕이나 산위에 달집을 만들어 두었다가 달이 떠오르면 여기에 불을 지른다.
즉 피어오르는 연기와 더불어 달을 맞이하면서 개인의 무병장수와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는 것으로 여기서 사용된 달집의 불씨를 얻어 쥐불놀이를 하면서 이웃마을과 횃불싸움을 하기도 하였다.
다리밟기도 대보름 풍속중의 하나로 12다리를 밟으면 액을 면하고 다리병을 앓지 않는다 하여 부지런히 다리품을 팔았다.
대보름날의 대표적인 절식으로는 약반과 복쌈이 있다.
약반은 햅찹쌀을 찐 것을 밤.대추.꿀.기름.간장 등과 섞어 다시 찐 후 잣을 박은 것으로 원래는 까마귀의 은혜에 보답하기 위한 제사에서 유래한 것이라 한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신라 소지왕(炤智王) 10년 정월 15일 왕이 천천정(天泉亭)에 행차했을 때 날아온 까마귀가 왕을 깨닫게 하여, 우리 풍속에 보름날 까마귀를 위하여 제사하는 날로 정하여 찹쌀밥을 지어 까마귀 제사를 함으로써 그 은혜에 보답하는 것이다"는 기록도 있다.
지방에 따라 오곡밥.잡곡밥.찰밥.농사밥 등을 그 대용으로 즐기기도 하였다.
복쌈은 밥을 김이나 취나물, 배추잎 등에 싸서 먹는 것인데, 복쌈을 여러 개 만들어 그릇에 높이 쌓아서 성주님께 올린 다음에 먹으면 복이 온다고 전해지고 있다.
이외에도 귀밝이 술, 타성집 밥먹기 등 여러 가지 음식과 풍속이 있다.
그렇지만 이 같은 대보름의 풍속은 일제강점기 시대의 우리민족 말살정책을 통해 대부분이 자취를 감추었으며, 그 뒤로도 미신타파 등과 같은 웃지 못할 명목으로 인해 상당 부분이 본래의 모습을 잃게 되었다.
최근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동제 등을 부활하겠다는 소식은 전통문화의 유지라는 측면에서 다행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이웃간의 왕래도 잘 없는 작금의 시점에서 이웃간의 유대강화나 공동체의식 형성을 위해서 아파트단지나 동단위의 행사로 세시풍습이 전해질 수만 있다면 보다 우리의 전통문화도 계승하고 보다 밝은 사회를 일구는데도 일조할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해 본다.
김정완(국립대구박물관 관장)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