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安시장 자살' 야권, 정치 쟁점화 나서

안상영(安相英) 부산시장의 자살이 두달여 앞으로 다가온 총선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한나라당과 민주당은 안 시장의 죽음을 여권의 총선 협조요구를 거부한데 따른 '정치적 타살'로 규정하면서 정치쟁점화에 적극 나서고 있는 반면 열린우리당은 정치적 해석을 차단하는데 부심하고 있다.

이는 그의 죽음이 해석 여부에 따라 총선에 상당한 변수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정치적 타살'이란 한나라당의 해석에 부산.경남지역의 민심이 동의하는 상황이 벌어질 경우 노무현(盧武鉉) 대통령과 열린우리당이 계획하고 있는 동남풍 즉, 부산발 정치혁명은 상당한 차질을 받게 될 것은 분명하다.

이는 부산.경남을 교두보로 영남지역 전체를 공략한다는 총선전략을 수정해야 하는 사태로 이어지면서 노 대통령의 정치실험이 위기를 맞을 수도 있다.

이 때문에 한나라당은 안 시장 자살에 적극적인 정치적 의미를 부여하면서 여권에 대한 공격에 나서고 있다.

최병렬(崔秉烈) 대표는 4일 국회 대표연설에서 원고에는 없었던 안 시장 자살문제를 언급했다.

그는 "안 시장은 나에게 '노 대통령이 몇차례 도와달라고 했으나 그럴 수 없다고 말했다'고 밝힌 적이 있다"면서 "안 시장의 자살은 노무현 정권이 총선에서 부산지역 교두보를 확보하려는데서 비롯된, 권력에 의한 살인"이라고 규정했다.

한나라당은 또 권철현(權哲鉉) 의원을 단장으로 한 진상조사단을 부산에 급파, 진상조사에 들어갔으며 홍사덕(洪思德) 원내총무를 비롯한 당 지도부와 소속 의원들도 5일 오후 부산시청을 방문하는 등 정치쟁점화에 진력하고 있다.

민주당도 "검찰수사와 기소 과정에서 문제가 없었는지 살펴보겠다", "검찰수사 과정에서 인권유린과 강압수사가 없었는지 한점 의혹없이 밝혀야 한다"며 한나라당을 거들고 나섰다.

그러나 민주당 내에는 신중론도 만만치 않다.

안 시장의 자살에 지나치게 정치적 의미를 부여할 경우 '망자를 볼모로 지역구도 고착화에 나선다거나 비리를 옹호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당초 소속 의원 및 지구당 위원장 전원이 5일 부산에서 집결하는 방안을 검토했다가 취소한 것도 이같은 우려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열린우리당과 청와대는 매우 곤혹스런 표정이다.

노 대통령의 집권 이후 견고하기만 했던 영남지역의 한나라당 지지세에 균열이 가기 시작하는 시점에서 터진 안 시장의 죽음이 반 노무현 정서의 결집을 불러올 수도 있다는 우려에서다.

이 때문에 안 시장의 죽음에 대한 정치적 해석을 적극 경계하고 있다.

열린 우리당 박영선(朴映宣) 대변인은 "안 시장의 죽음을 정략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망자에 대한 예의가 아니며 민주당의 장외집회와 함께 '쌍둥이 지역주의'"라고 비판했다.

윤태영(尹太瀛') 청와대 대변인도 "정치적으로 이용해서는 안된다"고 했다.

정경훈기자 jgh0316@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