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독자마당-인터넷 의료지식 맹신 말자

인터넷의 발전은 의료계도 많이 변화시키고 있다.

상당수 환자들이 인터넷으로 상담을 하고 병(의)원에선 홈페이지를 갖추어 놓지 않으면 시대에 뒤떨어진 것으로 매도 당한다.

하지만 의료인들은 병의원 인터넷 홈페이지의 확산으로 환자들을 대하기가 곤욕스럽다.

환자나 그 가족들은 병원을 찾기 전에 홈페이지부터 먼저 활용한다.

의료상담을 우선 해보기도 하고 시술비용 등 병원마다 이것 저것을 비교하고 판단한다.

의료인들은 진료를 받으러 오는 환자들이 예비지식을 갖고 오기 때문에 난처한 경우를 많이 당한다.

어느 원장으로부터 어떠한 대답을 들었고 또 어느 의원에서는 시술비용이 얼마인데 이 병원에서는 어떤지, 또 다른 병원에서는 특정 증상이 보일 때는 시술을 해주는데 이 병원에서는 왜 다른 시술을 권유하는지 등 의료인의 판단사항까지 꼬치꼬치 캐묻는다.

그리고 자칫 의료원의 실수가 있거나 서비스가 만족스럽지 못할 경우 'OO의원은 서비스가 나쁘다', 'OO의원을 조심하라'등 공개적으로 비난을 퍼부어 타격을 입힌다.

반대로 'OO의원을 적극 추천한다'는 등의 PR성 카페도 많이 있다.

심한 경우는 시술에 불만을 품은 일반인들이 해당 의원의 건물 사진과 주소까지 인터넷에 공개해 버린다.

이 때문에 의료인들은 네티즌들의 눈치를 보지 않으면 안될 상황이 되었다.

하지만 정작 중요한 것은 "의료상담이 진료를 대신하지 못한다" 는 모든 병원의 의료상담 사이트 표현처럼 표면적인 정보에 현혹되지 말고 의료인을 믿고 따르는 자세가 필요하다.

박상진(메디큐브 대표)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