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는 내년 가을학기에 사용될 초.
중.고교 역사교과서 개정과정에서 고구려사 왜곡 내용을 싣지 않고, 중앙.지방을 불
문하고 정부 차원에서 왜곡 시도를 하지 않겠다는 뜻을 우리 정부에 밝혔다.
한중 양국은 23일 두 차례 외교차관 회담을 비롯해 9시간 30분 동안 '릴레이협
상'을 갖고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중국 정부의 고구려사 왜곡 문제와 관련해 5개항
의 구두양해에 합의했다고 외교통상부 고위당국자가 24일 밝혔다.
구두양해 사항에는 또 ▲중국 정부는 고구려사 문제가 양국간 중대현안으로 대
두된 데 유념 ▲역사문제로 한중 우호협력 관계의 손상 방지에 노력하고 전면적 협
력 동반자관계 발전에 노력이 포함됐다.
이와 함께 ▲고구려사 문제의 공정한 해결을 도모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해 정치
문제화 방지 ▲학술교류의 조속한 개최를 통한 해결 등이 들어있다.
그러나 중국측은 외교부 홈페이지의 삼국시대사 부분에서 '고구려사'를 삭제하
기 이전으로 원상회복하라는 우리 정부의 요구는 수용하지 않았다.
이 고위당국자는 이날 오전 서울 세종로 외교부 청사에서 가진 비공식 브리핑을
통해 "중국의 성의에 대해 평가하고 이제 첫 발을 내디딘 것으로 경각심을 늦추지
않고 고구려사는 우리 역사라는 사실을 계속 지켜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수교 12주년을 맞은 24일 공개된 고구려사 관련 양국간 구두양해는 중국 정부가
그동안 정부 차원의 왜곡조치를 시정하고 앞으로 역사교과서 및 정부 차원의 왜곡시
도를 하지 않는다는 전제 아래 고구려사 문제를 더 이상 정치화하지 않는다는 지난
2월 최영진 차관-왕 이(王 毅) 부부장간의 합의로 되돌아 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23일 릴레이협상을 하는 동안, 중국측은 고구려사 왜곡 시정과 향후 왜곡 시도
중지에 대한 우리측 요구를 수용하면서도, 한국의 정계.학계 인사 및 정부 관련기관
들의 발행물에서 '중국 동북지방 회복 주장' 등을 거론, 중국 정부와 중국 국민의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면서 고구려사 문제와 함께 다루자고 주장했던 것으로 전해졌
다.
이에 대해 우리 정부는 "고구려사 왜곡은 중국 정부의 행위인 반면, '중국 동북
지방 회복 주장' 문제는 우리 정부가 한 일이 아닌 만큼 그런 중국의 요구를 받아들
일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고 결국 양해사항에 넣지 않았다"고 그는 전했다.
중국측은 또 "중국 정부가 고구려사를 왜곡하고 있다'는 내용을 우리 초.중.고
교 역사교과서에 넣으려는 시도가 있다면서 이 문제도 동등하게 다루자"고 주장했으
나, 우리측은 "그 것은 미래에 있을 지도 모르는 우려 내지는 정보 수준의 얘기인
만큼 동일수준에서 다룰 수 없다고 반박했다"고 그는 덧붙였다.
이에 앞서 양국은 23일 최영진 외교부 차관과 우다웨이(武大偉) 중국 외교부 아
시아담당 부부장간의 두 차례 회담 이외에도, 반 장관-우 부부장 면담과 이종석(李
鍾奭) 국가안전보장회의 사무차장-우 부부장, 박준우 국장-꿍쉬앤여우(孔鉉佑) 중국
외교부 한반도담당 부국장 사이 등 다각적인 채널을 전면가동했다.
지난 22일 방한했던 우 부부장은 이날 오전 9시 30분 중국민항 편을 이용해 베
이징으로 떠나며, 기내에서 북핵 6자회담 개최 논의차 베이징으로 향하는 이수혁 외
교부 차관보와 '기내회담'을 가진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한미 정상회담 국방비 증액 효과, 'TK신공항' 국가 재정 사업되나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