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지방 경제는 고사(枯死) 직전이다. 지방 상의 회장들이 나서 지방 경제를 살리라고 정부에 촉구할 정도다. 특히 극심한 소비 침체로 지방의 재래시장과 영세 유통업체는 빈사 상태에 놓여 있다. 여기에 대형 소매점(할인점)이 메마른 지방의 돈줄마저 블랙홀처럼 빨아들이고 있다. 이 때문에 지역 재래시장과 동네 슈퍼마켓 등 '골목 상권'은 숨이 넘어가는 상황이다. 지자체가 나서 재래시장의 현대화를 지원하고 특성화한다고 해도 대형 소매점의 자금력과 유통 노하우 앞에 경쟁이 되지 않는다. 그런데도 정부는 중소기업과 자영업의 구조조정이 미진하다며 대책 마련에는 손을 놓고 있다.
대구와 경북지역의 대형 소매점은 현재 19개와 12개로 이 중 15개와 10개가 수도권에 본사를 둔 대형 유통업체들이다. 내년에도 대구'경북에만 8개의 대형 소매점이 새로 진출할 예정이라고 한다. '출혈 출점(出店)'도 서슴지 않으며 중소도시와 농촌 지역에까지 문어발식 점포 확장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지역 재래시장의 빈 점포가 늘어나고 패션몰이나 대기업이 운영하는 대형 양판점까지 몰락의 길을 걷고 있다.
이것도 모자라 대형 유통업체들은 '골목 상권'을 아예 싹쓸이하는 전략을 세우고 있다. 포화상태에 이른 대형 소매점 대신 대형 편의점 사업에 잇따라 뛰어들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대전시의 경우 지역 재래시장 상인과 중소 유통업체 보호를 위해 대형 소매점의 신규 입점을 2007년까지 제한키로 했다. 또 정부에 관련법 개정을 건의하고 입점한 대형 소매점에 대해 현지 법인화를 요청했다고 한다. 대구시와 경북도도 관련 조례를 제정해서라도 대형 소매점의 무분별한 진출을 제한, 지역 영세 상인들을 보호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