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여야 지도부 4대 법안 협상 위임

주말 정국 정상화 분수령

9일째 계속돼 온 임시국회 파행이 중대 고비를 맞고 있다.

그동안 의원총회를 맴돌며 일방적으로 제기됐던 여야간 4대 입법 논의가 당 지도부 간 협상으로 격상됐기 때문이다.

한나라당이 지난 15일 국가보안법 개정 당론을 박근혜(朴槿惠) 대표에게 일임키로 하자, 열린우리당도 17일 최대 쟁점인 4대 법안 처리방식을 당 지도부에 맡기기로 했다.

이에 따라 강·온론으로 양분됐던 4대법 논의의 틀이 바뀔 수 있다는 점에서 여야간 타협 모색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국회의장의 중재로 마련된 두 차례 원내대표 회동이 불발에 그친 만큼 여야 모두 어떤 식으로든 실타래를 풀어야 한다는 절박함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지도부로부터 협상의 전권을 위임받은 열린우리당 천정배(千正培) 원내대표와 한나라당 김덕룡(金德龍) 원내대표가 일단 18일과 19일쯤 협상 테이블에 앉기로 해 결과가 주목된다.

하지만 현재로선 4대법 논의 전망이 밝지만은 않다.

열린우리당은 한나라당이 국회 정상화의 조건으로 제시한 '4대 법안 합의 처리'요구에 대해 "국회 정상화가 우선"이라는 기존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번 주 각종 상임위를 열어 각종 법안을 단독 상정하거나 법안심사 소위에 회부했던 열린우리당은 내주 초 모두 처리하겠다는 사실상의 최후통첩을 한나라당에 전달한 상태다.

그러나 대화 가능성만은 여전히 열어놓고 있다.

이부영(李富榮) 의장은 "(협상을)잘 해볼 생각"이라며 "천 대표가 주말에 김 대표와 만나기로 돼 있다"고 말해 기대감을 드러냈다.

한나라당도 박 대표가 제안한 '4대 법안 합의 처리'를 거듭 외치며 여당을 압박하고 있다.

그러나 17일 열린 비공개 의총에서 국회 공전에 대한 비판을 우려해 일단 등원해야 한다는 의견도 적지 않았다.

맹형규(孟亨奎), 남경필(南景弼), 박진(朴 振), 정병국(鄭柄國) 의원 등 수도권 출신 의원들은 "국보법 연내처리 유보를 약속받고 전격 등원해 예산안 및 파병연장동의안을 처리하자"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처럼 여야 모두 4대 입법 처리에 대한 생각은 다르지만 '주전파'보다는 협상에 기대를 거는 '주화파'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어 이번 주말이 임시국회 정상화를 위한 최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