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취해소음료 업체들이 울상이다.
경기침체 여파로 술 소비가 줄면서 숙취해소음료 판매량도 덩달아 크게 줄었기
때문이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숙취해소 음료시장의 80% 가량을 점하고 있는 CJ의 '컨디션
ADH'는 올해 매출액이 약 386억원으로 지난해(495억원)와 비교해 22%나 줄었다.
'쌩큐'를 판매하는 종근당은 올해의 경우 지난해(40억원)보다 12% 증가한 45억
원의 매출을 올렸으나 당초 매출목표(50억원)는 달성하지 못했다.
'여명 808'을 생산하는 그래미는 지난해(149억원)보다 20% 신장한 180억원의 매
출을 기록, 그나마 선전했다.
숙취해소음료 시장은 송년회 등 각종 모임이 몰려 있는 12월이 대목중 대목.
그러나 올해는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술마시고 흥청대던 송년회가 사라지고 대신
문화 공연 관람, 불우이웃 돕기 등 '술없는' 송년회 문화가 확산되면서 술은 물론
숙취해소음료 판매량까지 급감한 것.
국내 숙취해소음료 시장은 2000년 350억원, 2001년 620억원, 2002년 720억원으
로 성장해오다 지난해(700억원)부터 감소세로 돌아서 올해는 580억원대에 그칠 것으
로 업계는 예상하고 있다.
따라서 업체들은 매출 부진을 만회하기 위해 대대적인 판촉활동을 벌이고 있다.
CJ는 31일까지 게임포털사이트인 넷마블(www.netmarble.net)에서 '대박맞고' 게
임을 한 고객을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컨디션ADH 1상자(10병)를 보내준다.
종근당은 서울 강남, 종로, 신촌 등 주요 유흥가를 중심으로 길거리 시음회와
이벤트를 연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