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독도(獨島) 입도'를 전면 허용함에 따라 독도 여행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어떻게 하면 우리 땅, 동쪽 끝에 있는 독도에 들어갈 수 있는 지, 또 가기만 하면 무조건 입도를 할 수 있는 지 등이 궁금하다. 문화재청이 독도관리 세부 지침을 마련하고 있어 그 내용을 봐야 하겠지만 결론부터 말하자면 무제한 허용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그러면 현재 독도에 들어가는 절차는 어떻고, 앞으로는 어떻게 달라질까? 경북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의 독도는 면적이 18만6천121㎡에 불과한 2개의 주요섬(동도와 서도)과 33개의 돌섬 및 암초로 형성돼 있는 천연기념물 제336호로 지정돼 있다.
따라서 문화재보호법의 적용을 받고 있고 그 관리 단체는 울릉군, 관리자는 경북도지사가 문화재청장과 협의해 선임하게 돼 있다. 입도 승인은 문화재청장, 경북도지사, 울릉군수로 나뉘어져 있으나 독도가 천연기념물이기 때문에 결정권은 사실상 문화재청에 있고 특정 사안은 외교통상부와 협의하고 있다.
또 입도 목적별로 보면 각종 시설물 설치 등 형상변경 허가, 행정목적외 숙박·체류는 문화재청장이, 30명이하 단순 입도(30명 초과 때는 문화재청과 사전 협의)는경북지사가, 공무원의 공무상 입도(안전점검 등)와 어민 피항 및 조업 준비, 각종단속·관리는 울릉군수가 각각 승인해 왔다.
그럼에도 지금까지 언론인의 취재목적 입도는 일본과 불필요한 마찰을 우려해허용하지 않았다. 독도에 들어가려면 보통 입도 30일 전에 신청서를 제출해 승인을 받아야 한다. 더구나 이 곳에서 하는 각종 행사는 30일 전에 해당 지자체를 거쳐 문화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하고 허가 장소이 외는 촬영을 못한다.
입도 신청을 할 경우, 승인신청서 1부와 신청자 명단 1부, 입도(운항 포함)때안전책임각서 1부, 민간선박 이용 때는 항로 임시 변경허가 1부를 내야 하고 학술연구조사는 그 목적과 내용, 장비 등을 기입한 서류를 추가해야 한다. 신청에서 승인까지는 문화재청과 협의할 사항의 경우는 민원인(신청)→울릉군→경북도→문화재청(의견검토)→경북도(민원인과 관련부서에 결과 통보)의 복잡한 단계를 거친다. 경북도가 승인하는 것은 민원인→울릉군→경북도(결과 통보)이고 울릉군은 민원인→울릉군→경북도, 문화재청(결과 송부)에서 끝난다. 입도 인원은 천연기념물 훼손 등을 감안해 1회 70명으로 제한해 놓고 있다.
최근 울릉군민 200여명이 독도에서 벌인 3·1절 기념 행사는 장소가 접안시설이어서 허용했고 이 때에도 섬 위로 올라갈 경우 1회 70명 안으로 제한했다. 그러나 정부가 독도 환경에 큰 지장이 없는 범위 안에서 입도를 전면 허용키로했기 때문에 앞으로 방문 인원은 늘 것이고 이에 따른 독도 관광객도 급증할 것으로보인다.
또 언론의 취재도 가능하고 다만 입도 절차는 지금대로 하면서 승인에서 신고제로 완화된다. 그렇다 하더라도 독도의 수용능력에 한계가 있는데다 천연기념물인 점을 감안할때 한꺼번에 입도할 수 있는 인원은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현재의 기준을 유지하거나 조금 늘리는 선에서 허용할 가능성이 높다.
이와 함께 입도 가능한 날이 연간 40여일 정도인 기후 조건과 500t급 배 1대만을 댈 수 있는 접안시설 사정, 울릉도에서 독도까지 배로 약 4시간이 걸리는 점 등으로 미뤄 독도 여행은 다수 국민들의 관심만큼 그리 간단하지 않을 전망이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세계 최고 IQ 276' 김영훈 "한국 정부는 친북…미국 망명 신청"
추미애 "국감 때 안구 실핏줄 터져 안과행, 고성·고함에 귀까지 먹먹해져 이비인후과행"
친여 유튜브 출연한 법제처장 "李대통령, 대장동 일당 만난 적도 없어"
장동혁 "오늘 '李재판' 시작해야…사법부 영혼 팔아넘기게 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