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만길(姜萬吉) 광복60년 기념사업추진위원장 겸고려대 명예교수의 '김일성 주석의 항일운동' 언급으로 논란이 분분한 가운데 국내에서 발행된 많은 서적도 김 주석의 빨치산 운동을 사실로 담고 있어 눈길을 끈다.
우선 통일부가 발행하는 '북한 주요인물 자료집'은 김 주석의 학·경력을 소개하면서 ▲1936.5 조국광복회 조직 ▲1937.6 함남 보천보 습격, 함남 중평리 습격 ▲1942.8 동북항일연군 교도여단 제1교도영 영장 등으로 명기했다.
이에 앞서 1987년 정보당국이 펴낸 '북한인물록'에도 통일부의 자료집이 담고있는 내용 중 '1942년 동북항일연군 교도여단 제1교도영 영장'을 제외하고 그대로적고 있다.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이 1999년 발간한 '한국인물대사전'은 ▲1932년 4월 항일 유격대를 조직, 장백산맥과 쑹화강 유역에서 항일무장투쟁 전개 ▲1936년 통일전선조직이며 지하혁명조직인 조국광복회를 조직하고 10대 강령 발표 ▲1937년 6월 국내조직과 연계해 압록강 상류인 혜산진의 보천보 습격 등으로 김 주석의 항일무장투쟁을적고 있다.
동서문화사가 펴낸 'PASCAL 세계대백과서전'에는 ▲1932년 안투현에서 항일유격대원으로 활약 ▲1934년 중국 공산당 동북인민혁명군 제2군 독립사에 들어감 ▲1937 년 그가 지휘하던 6사 병력 1백여명이 조국광복회 국내 조직과 연합해 함남 보천보에서 일본 경찰 습격 등이 기재돼 있다.
보수적 성향의 북한 전문연구기관인 북한연구소도 1999년 출간한 '북한대사전' 에서 김 주석이 ▲1936년 동북항일연군의 제1보로군 제2군 제6사의 부대원 ▲1937년보천보 전투 참가 ▲1942년 결성된 88특별여단에서 제1대대장으로 활동했다고 소개하고 있다.
이외에도 연합뉴스는 지난해 펴낸 '2004 북한연감' 인명편에서 ▲1936년 조국광복회 조직, 회장 취임 ▲1937년 함남 보천보 습격, 함남 증평리 습격 등으로 항일경력을 적시했다.
조선일보는 인터넷 홈페이지에 올린 북한인물자료에서 ▲1937년 보천보 습격 ▲1942년 동북항일연군 교도여단 제1교도 영장(대대장) 등으로 서술했으며 1936년 조국광복회를 조직해 회장으로 취임했다는 부분은 '북한 주장'으로 명기해 김 주석의항일 활동을 사실상 인정했다.
또 국내의 한 언론사는 김일성 주석의 보천보 전투를 보도했던 동판에 금박을칠해 북한에 선물하기도 했으며 북측은 이를 국제친선전람관에 전시하고 관람객들에게 선전하고 있다. 고유환 동국대 교수는 "당시의 기준으로 봤을 때 사회주의는 민족해방 차원에서국내에 들어온 만큼 독립운동으로 봐야 할 것"이라며 "미국과 소련이 연합국이었던당시의 시점에서는 이념의 대립이 존재하지 않았던 만큼 사실은 사실대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