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먹을 건 타고 난다'는 우리 속담이 있다. 먹을 게 넉넉지 못한 집에 자식 복만 많을 때 '태어난 이상 굶어 죽는 일이야 없겠지'라는 자기 위안에서 나온 말인지 모른다. 그러나 이 속담은 언제부턴가 '웃기는 말'이 돼 버리고, 우리가 못사는 원인으로 여겨지기까지 했다. 로마의 국력이 한창 뻗어나가던 시절만 해도 아이를 10명 정도 낳는 여성이 드물지 않았다면 생각해볼 점이 적지 않다. 일찍이 로마가 출산 장려 정책을 폈던 건 출산 저하가 국력 저하로 이어질 걸 우려했기 때문이었으리라.
◇ 정부는 근래에 초미의 사회 문제로 떠오른 저출산'고령화 현상에 대한 대책 마련에 전전긍긍하는 모습이다. '세 자녀 낳기 캠페인' '고령사회 및 인구 대책 기본법' '노인 복지를 위한 효행 장려 법안' 등 각종 방안을 내놓기도 했다. 아기를 낳으면 20만~30만 원을 지원하는 등 '선심성' 정책도 나왔다. 하지만 장기적'근본적 대책과는 거리가 멀어 보인다.
◇ '무전무자(無錢無子)'의 아픔을 호소하는 불임(不姙) 부부들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으나 이들은 여전히 소외의 그늘 속에 있는 것 같다. 불임 부부가 아기를 갖기 위해 시험관 아기 시술이나 인공수정을 하려 해도 보험 혜택이 없어 경제적 고통을 겪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런 부부가 아기를 가지려면 1천만 원 정도는 들어야 하니 돈 앞에서도 울 수밖에 없다.
◇ 한 통계에 따르면, 2003년 현재 불임 부부는 7쌍 중 1쌍 꼴이며, 계속 늘어나는 추세다. 하지만 이들에 대한 보험 혜택은 불임 진단검사'배란촉진제 사용'약물요법 등이 전부인 형편이다. 한 인터넷 사이트가 최근 불임시술의 보험 적용 촉구를 위한 서명 캠페인을 벌여 7천여 명이 참여했으며, 곧 국회에 이를 제출할 움직임이다. 심각한 저출산 문제를 떠올린다면 제대로 지원하는 방법을 찾아야만 한다.
◇ 지금 우리 사회에선 '돈 있으면 아기를 낳고, 돈 없으면 못 낳는다'고 할 만큼 돈이 문제이며, 자식 키우기로부터 자유로워지려는 풍조도 만연해 있다. 이런 바람이 계속된다면 노동 인력 부족과 노인 인구 급증으로 국가 경쟁력에 치명적인 저해 요소로 작용할 건 뻔한 일이다. 출산과 육아 관련 인프라 확충이 발등의 불임은 말할 나위 없으나, 돈 없어 아기를 못 갖는 부부들도 잘 보살펴야 하지 않을까.
이태수 논설주간






 
         
    
    















 
                     
                     
                     
                     
                    












 
             
            









댓글 많은 뉴스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
"이재명의 승리" "역사적 업적"…관세협상 타결에 與 칭찬세례
한미 관세 협상 타결…현금 2천억+마스가 1500억달러
美와 말다르다? 대통령실 "팩트시트에 반도체 반영…문서 정리되면 논란 없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