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5 공동선언 실천을 위한 남·북·해외 공동행사 남측준비위원회 백낙청 상임대표는 17일 "이번 6·15 통일대축전은 대성공"이라며 "8월 15일 서울에서 열리는 남북 공동행사 때 북측에서도 최소한 300명이 서울에 오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다음은 백 상임대표와의 일문일답.
-이번 대회의 성과를 평가해본다면.
▲우선 성대하게 치러졌다.
여러가지 우려가 있었는데 큰 문제 없이 넘어가서 아주 대성공이라고 생각한다.
-북측이 사람들도 많이 모으는 등 신경을 상당히 쓴 것 같다.
이번 행사 가운데 어떤 것이 가장 인상에 남았나.
▲모든 행사가 성대했지만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개막식날 빗속에서 행진한 것이다.
우리도 조금 힘들었지만 행사에 나온 평양시민과 학생들이 빗속에서도 열렬히 우리를 환영해 준 것이 아주 인상적이었다.
-이번 행사에서 아쉬웠던 것이나 어려웠던 점은.
▲행사가 너무 많아서 좀 자유롭게 비공식적인 접촉을 할 수 있는 시간이 우리가 바라는 것만큼 충분치는 않았다.
-15일 이뤄졌던 부문별 접촉이 형식적이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나.
▲계획된 일정으로 잡힌 행사는 다소 형식적으로 흐르는 경향이 있다.
그런 행사를 계기로 자유롭게 비공식적인 대화를 하는 것이 중요한데 충분치 못했다는 것이 조금 아쉽다.
-올해 8·15 남북공동행사는 어떻게 준비를 할 것인가.
▲우리는 여기 식으로 할 수는 없고 남쪽 식으로 해야 할 것이다.
북쪽의 의견도 듣고 우리 내부 실무진의 검토를 거쳐서 이제부터 차근차근 준비해 갈 것이다.
-물론 합의를 해야겠지만 8·15때 북쪽에서 얼마나 올 것으로 예상하는가.
▲합의를 해야겠지만 우리쪽 300명이 평양에 왔으니 북쪽도 최소한 300명은 서울에 오기를 바란다.
더 많이 오는 것도 물론 환영한다.
-평양 거리에 대한 인상은.
▲6월초 행사 실무협의를 위해 처음 평양을 방문했을 때는 행사준비를 위해 공사를 아주 많이 하고 있었다.
이번에 오니까 공사가 끝나서 훨씬 더 정돈됐다.
과거 평양을 방문한 경험이 있던 분들 말로는 평양이 갈수록 더 활기가 있다고 말했다.
-남쪽 당국이 이번 행사에 참여하면서 차기 대권주자인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오니까 뉴스의 초점이 정 장관한테 너무 쏠리는 면도 있었는데.
▲민족의 큰 행사를 하는데 언론에서 초점을 더 맞추고 덜 맞추고 하는 것이 문제가 될까 싶다.
남쪽 당국이 이번 행사에 참여한 것을 우리는 진심으로 환영한다.
잘 된 일이다.
(평양공동취재단)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